'식약청 오송시대, 국내 산업 전기 마련'
2010.05.02 10:25 댓글쓰기
지난 달 23일과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직원들은 두 차례에 걸쳐 충청북도 오송으로 현지답사를 다녀왔다.

오는 11월부터 식약청의 오송 시대를 앞두고 미리 새 청사 건설 현장을 둘러보고 주변 정주여건 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전에 따른 직원들의 혼란을 줄이는 게 가장 우선 사항 중 하나입니다. 건설 단계에서부터 직원들의 업무 수요를 반영해 공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의견을 받는 한편, 오송시대에 맞춰 새 출발을 해야 하는 직원들이 주변을 둘러볼 계기도 마련하고요.”

식약청 오송청사기획단 김성곤 총괄대책팀장[사진]은 불과 6개월 앞으로 다가온 식약청 오송시대에 앞서 의지를 다졌다.

지난 2004년부터 거론되기 시작해 공사기간 만 장장 7년에 걸친 식약청의 비원이 마침내 실현되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이전에 따른 일정을 챙기느라 눈코 뜰 새 없이 바쁘다는 김 팀장의 최근 고민은 직원들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문제로 귀결됐다.

3월말 기준으로 총 1271명이 이전 이후에도 근무를 이어가기로 했지만 여전히 불안해하는 나머지 직원들의 모습이 안타까운 탓이다.

실제로 정규직의 30%가 퇴직 또는 다른 부처로 이직을 신청해 69%만이 식약청 오송시대를 함께 맞이하기로 했다.

비정규직 이탈은 더욱 심해 388명 31%만이 오송 이전 이후에도 식약청에서 근무를 계속할 예정이다.

김 팀장은 “정규직의 경우 1:1 교체원칙에 따라 실제 퇴직율은 높지 않을 전망이고, 비정규직 연구사업이 올해 말로 예정된 데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며 “다만 이러한 이탈 숫자가 평년에 비해 높다는 게 문제여서 고민 중”이라고 설명했다.

때문에 그의 해법에 오송청사가 자리할 충북대학교 등 지역과의 호흡을 맞추는 일이다.

김 팀장은 “식약청 차원에서 지역과의 MOU 등을 맺고 적정한 수준에서 인력을 수급받아 인력난에 따른 업무 차질을 없도록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물론 이 과정에서 제약과 의료기기 등 관련 업계와의 소통 역시 빼놓을 수 없다고 그는 덧붙였다.

식약청이 오송으로 이전에 따라 민원인들인 업체 관계자의 불편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묻자 김 팀장은 “앞서 대전으로 청사를 옮긴 바 있는 관세청이나 특허청의 사례를 참고했다”며 “초기에 다소 불편이 있을 수 있겠지만 곧바로 안정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오송 이전에 따른 민원 상담 업무 일부를 서울청에서 담당하기로 하고, 화상 회의실 및 민언실을 설치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김 팀장은 “민원인이 본청에서 찾아와 직원들에게 문의할 때와 다르지 않도록 화상 민원 등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며 “뿐만 아니라 식약청 주관 행사시 서울서 열어 초창기 업체들의 적응기간을 두는 한편, 이전 과정에서도 업체의 의견에 귀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오송이전에 대해 확신에 찬 그에게 끝으로 앞으로의 계획을 물었다.

“식약청 오송시대는 산·학·연·정이 한 자리에서 최대의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데 의미를 두고 출발한 사업입니다. 그만큼 오송시대에 대해 식약청 뿐만 아니라 관련 이해 당사자들의 관심도 높습니다.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식약청이 조기 정착해 우리나라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을 키워내는 데 일조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