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대지진과 대한민국 재난의료
2015.05.19 19:56 댓글쓰기

대지진 발생으로 혼란에 휩싸인 네팔에 국내 의료계 곳곳에서 온정이 쏟아졌다.


명지병원을 비롯해 조선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안양샘병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등이 자발적으로 의료진을 파견했고, 의약품 등 구호품과 기부금 지원도 잇따랐다.


사망자와 부상자가 속출하는 재난 상황에서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의료진과 의료구호품은 가장 절실한 도움의 손길이다. 누구보다 그 절실함을 알기에 의료계가 발 빠르게 지원에 나섰다.


정부 역시 신속하게 구호대를 꾸려 네팔에 파견했다. 의료팀의 경우 국립대병원 및 공공의료기관에서 재난교육을 받은 전문가들로 구성했다.



아쉬운 점은 정부의 구호대 파견 과정에서 각 병원들과의 통합 관리 채널이 부재였다. 정부는 민간의료팀 지원은 선발대의 현지조사 이후 필요에 따라 요청하도록 한다는 방침을 내세웠지만 이 같은 체계는 재난상황에 효율적으로 의료자원을 적재적소에 배분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재난 상황에서 사람의 생명유지가 가능한 최대시간인 ‘골든타임’은 72시간으로 긴박한 상황 속에서 자발적으로 나선 개별 의료팀이 쏟는 시간과 노력은 최소한으로 줄이는게 현명하다.


그런데 통합관리체계가 부재하다면 각각의 의료팀이 매번 현지에서 의료인으로 활동하기 위해 거쳐야하는 등록절차, 의료진 지원이 필요한 지역에 대한 파악 등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다.


의료품 지원 역시 어떤 품목이 필요한지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필요한 품목을 구성하고 분배해야 하지만 통합관리체계가 없으면 각 기관들의 지원품목들이 중복돼 공급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실제 국내에서 가장 먼저 네팔 의료현장에 파견됐던 명지병원 김인병 의료지원단장은 “개별적인 병원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범정부적으로 체계적인 구호 계획을 세워야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재난 상황 발생과 동시에 정부의 자원 이외에 민간 의료기관의 자원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통합관리체계가 필요하다. 


지난해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는 40개 재난거점병원을 지정한 재난의료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재난의학이 전무하던 과거보다 진일보했지만 재난거점병원만으로는 네팔 지진과 같은 상황이 국내에 닥쳤을 때 의료체계를 전담하기에 부족하다.


대한병원협회가 세월호 참사 당시 전국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실종자 가족들에 대한 의료봉사에 동참할 병원을 모집했듯이 범정부 차원에서 지원이 가능한 의료자원을 총괄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


민간 의료기관의 도움의 손길을 단순히 '온정'으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재난 상황에서 이들 자원을 어떻게 활용해서 분배할지 등을 통합관리할 계획이 필요한 시점이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