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老) 교수는 일하고 싶다…"취약지 근무 'OK'"
의협, 퇴임 후 진로 설문조사…주 3일 근무·월급 700만원 선호
2023.07.13 12:11 댓글쓰기

시니어 의사 10명 중 8명 이상이 '은퇴 후 진료를 계속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의료취약지 근무도 무관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지역 필수의료 붕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확대보다 은퇴의사 및 비근무 전문의를 활용하는 방안이 합리적, 실효성 있는 대안이란 분석이다. 


대한의사협회는 13일 '은퇴 후 선생님의 진로 선택'이라는 주제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밝혔다. 시니어 의사 및 비근무 의사들 상당수가 취약지 근무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총 2016명의 의사가 참여한 이번 조사결과 현재 의사들은 적정 은퇴연령으로 65~69세(35.2%)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75세 이상 23.6%, 70~74세 22.1%, 60~64세 13.8% 순이었다. 


은퇴 후 진료 지속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전체 의사의 78.8%가 '하고 싶다'고 답했고, 대상자를 60세 이상으로 한정할 경우 84.7%에 달했다.


진료 유지 희망 이유로는 자기만족 및 자아실현(44.1%)이 가장 많았고, 뒤이어 경제적 이유(24.6%), 사회적 기여(21.5%), 기타(9.9%)가 차지했다. 


은퇴 후 희망 근무 분야는 일반진료(45.1%), 어떤 업무든 무관(27.7%), 건강증진(9.6%), 건강검진(8.5%), 보건교육(6.1%), 방문건강(3.0%) 순으로 조사됐다.


의료취약지 근무 의향을 묻자 설문 참여 의사의 63.1%가 '있다'고 답변했다. 60세 이상 의사로 대상자를 좁히면, 70.7%가 '있다'고 의지를 보였다.


은퇴 후 희망 근무지역은 수도권 36.7%, 영남권(26.8%), 강원(10.8%), 호남권(9.7%), 충청권(9.2%), 제주(6.8%) 순으로 나타났다.


백현옥 의협 의사-지역공공의료기관 매칭사업 TF 위원장은 "지역별 응답자 현황과 비교해보면 거주 지역 근처에서 진료를 하고 싶어하는 경향이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 선호도에 변화가 확인됐다"며 "수도권 선호가 2020년 55.9%에서 2023년 37.2%로 감소한 데 비해 강원지역 선호도는 2020년 4.4%에서 2023년 10.8%로 2배 이상 늘었다"고 덧붙였다.


"거주지 이전 가능…병원 종류도 무관" 


또한 은퇴 후 근무를 위해 거주지를 옮길 의향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있다'는 55.2%로, '없다' 44.8%보다 약간 높았다. 


은퇴 후 공공보건의료기관 취업 의향에 대해선 77%가 '있다'고 응답했고, 의료취약지 민간의료기관 취업에 대해선 67.9%가 '있다'고 응답했다. 


희망 근무기관에 대해선 '선호기관 없음'이 절반가량(48.7%)을 차지했고, 이어 지방의료원(17.5%), 보건기관(16.7%), 국공립병원(11.7%) 순이었다. 


은퇴 후 근무일수는 주 3일(44.7%), 주 4일(28.6%), 주 5일(14.5%), 주 2일(8.5%) 순으로 선호했고, 일평균 근무시간은 4~5시간(28.1%), 5~6시간(26.6%), 6~7시간(16.7%) 순으로 조사됐다.


희망 보수(월 기준)는 700만원대 이상이 38.1%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500만원대(34.2%), 600만원대(12.8%), 400만원대(7.2%), 300만원대(6.2%), 200만원대(1.0%) 순이었다. 


지방 이전 근무 시 발생할 어려움에 대해선 '가족과 떨어져 살게 되는 것'을 가장 많이 걱정했고, '문제없다'가 뒤를 이었다. 의료 인프라 부족, 사회관계 단절, 여가 문화시설 부족 등도 일부 있었다. 


"불가항력적 의료사고 지원 가장 필요"


아울러 의협과 국립중앙의료원이 체결한 필수의료인력 확보 방안 일환으로 추진되는 '시니어의사-지역공공의료기관 매칭사업TF' 구성에 대해선 '긍정적'이라는 답변이 69.3%로 높았다. 


은퇴 후 공공보건의료기관 근무 시 근무지역(25.2%), 적정급여(25%), 근무시간(24%), 전문과 진료(15.6%), 거주공간(10.1%) 순으로 중요하다고 답했다. 


은퇴의사를 활용하면 의사 증원 없이 일차의료 및 공공의료 강화가 가능하다고 보는지에 대해선 절반 이상이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잘모르겠다(24.3%), 불가능하다(17.8%) 순이다.


은퇴의사 공공보건의료기관 근무 시 정부 지원책에 대해선 '불가항력적 의료사고 지원'이 가장 많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인건비 지원(25.1%), 병원 적응 교육 및 매뉴얼(13.8%), 주거공간 지원(10.6%), 순환근무 선택 폭 확대(4.5%) 등도 원했다. 


은퇴의사 활용 방안이 현실화된다면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가 해소될 것이냐고 묻는 질문에 대해선 '해소될 것'이라는 응답이 49.3%. '잘모르겠다' 25.5%, '해소되지 않을 것' 25.1%였다.


이필수 의협회장은 "전문의 1명 양성에 11~14년 정도 걸린다. 의대를 설립할 경우 15년의 필수의료 공백이 생기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시너어 의사 매칭사업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은퇴 후 의사 비율도 높고, 이들의 근무 의사도 상당해 사업의 실효성 및 전망이 모두 좋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