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적 질병 '비만'…정책 사각지대 '저소득층'
연속성 단절 등 가정형편 어려울수록 질환율 높아
2015.12.31 20:00 댓글쓰기

세계보건기구(WHO)가 비만을 ‘21세기 신종 전염병’으로 규정한지 15년 가까이 지났지만, 국내 저소득층 비만 치료 정부 대책은 여전히 방향성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대한비만학회, 대한비만연구회 등 관련 학회를 중심으로 저소득층 비만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전세계 인구 30%에 해당하는 약 21억명이 과체중에 시달리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서구형 식습관 등으로 인해 비만 인구가 빠르게 늘고 있다.

 

특히 빈부격차가 커짐에 따라 저소득층에서 비만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른 영양분 섭취가 제한되는 사회적 계층에서 비만 환자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대한비만학회는 10월 11일을 ‘비만 예방의 날’로 지정하는 등 사회적 관심 제고에 적극 나서고 있다.

 

또한 ‘숫자로 보는 우리나라 비만 현황’을 공개한 바 있다. 해당 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토대로 제작됐다.

 

그 결과, 19세 이상 중 20.8%가 복부비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남성 23%, 여성 17.7%로 전체 인구 중 877만9000여 명으로 추정됐다.

 

소득에 따른 비만 환자 발생률도 객관적으로 증명됐다. 소득 수준에 따라 4분위로 나누었을 때 최하층 발생률이 26.1%이었다. 이는 최상위층 18.3%보다 7.8% 낮은 수치다.

 

서울 소재 한 대학병원 교수는 “비만은 각종 만성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라며 “비만을 더 이상 개인의 문제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 관리해야 할 사안”라고 지적했다.

 

문제는 아직 정부 차원에서 수립되고 있는 비만 대책이 미흡하다는 점이다. 단적인 예로 제대로 된 시범사업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사회공헌활동 일환으로 연구회 차원에서 ‘저소득층 비만 치료 사업’을 진행한 대한비만연구회는 연속성 단절을 가장 큰 문제로 손꼽았다.

 

해당 사업 종료 이후 약물 비용 지원이 끊기다보니 치료 대상이었던 저소득층 환자가 다시 비만을 겪게 되기 때문에 범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비만연구회 김민정 회장은 “고혈압, 암, 뇌졸중부터 정신질환에 이르기까지 비만으로 인한 부작용은 매우 다양하다”며 “연구회 자체적으로 수행한 저소득층 비만 치료 사업은 끝까지 책임지겠지만,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제대로 된 시범사업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상담료 현실화 등 수가 책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주문도 이어졌다. 비만 치료 대부분이 상담 또는 약물 등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현행 진료시스템에서 상담료는 수가에서 제외된 상태다.

 

김민정 회장은 “저소득층 비만 치료에 대한 급여화가 논의되고 있지만 시범사업조차 이뤄지지 상황에서 객관적 데이터를 마련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은 비만 치료는 악순환의 반복”이라며 “의료계 상황이 반영된 저소득층을 위한 적정 치료비용 지원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