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립 10년 보건의료연구원 '업무 범위 확대'
허대석 초대 원장 '지난 10년 실적 기반으로 미래과제 해결사 역할'
2019.04.24 06:55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근빈 기자] 보건의료연구원(NECA)이 설립 10주년을 맞았다.

의료정책에 근거중심 의학을 적용하는 세계적 추세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신의료기술평가 등 굵직한 사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 10년간 제한된 의료자원의 효율성 확보를 위한 의사결정 구조로 작용했지만, 이제는 범위를 확장해 보장성 강화의 한 축으로 작용하고 사회적 문제에 직접 관여하는 형태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이는 근거 중심에 함몰되지 않고 큰 틀에서의 정책 제안이 가능한 기관으로의 성장을 뜻한다.

23일 보건의료연구원 초대 원장직을 수행한 허대석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사진]는 “그간 카바수술, 맘모톰 등 의료현장과 갈등이 불거진 시련도 있었다. 근거와 사회적 가치의 충돌 속 어려움이 존재했던 것은 사실”이라고 진단했다.
근본적으로 허가승인 단계의 자료를 기반으로 가치평가를 이어가고 있는데, 임상시험의 자료는 다소 제한이 걸려있기에 보다 발전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실제로 허가승인 단계에서는 노인이나 소아를 대상으로 하는 자료가 부족하고 다른 동반질환을 가진 환자를 구분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질환 중증도의 차이나 다약제 환자 구분도어렵다.


허 교수는 “RWE(Real World Evidence)가 쟁점이 된 시기가 됐다는 것이다. 임상현장에서 수집되는 실질적 데이터를 확보해야만 보건의료 정책에 실질적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국내 보건의료 정책은 흐름은 곧 보장성 강화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근거와 사회적 가치를 적절히 판단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 과정에서 보건의료연구원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급여화 과정에서 RWE를 통한 다양한 근거를 적절히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일례로 여러 암에 쓰일 수 있는 항암제라고 하더라도 급여권에 진입할 경우에는 모든 방향을 열어두지 않고 특정 암으로 제한된다. 건강보험 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는 “근거를 제도도 옮겨올 때는 항상 논란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기준점을 잡는 과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를 판단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시켜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어 “사회적 문제로까지 기관의 역할론을 확장해야 한다.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지만 해결하기 어려운 보건의료 영역의 문제를 끄집어내 정책에 연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보건의료연구원의 몫이 돼야 한다. 보건의료정책을 선도하고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