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 급여화 두고 정부 협의 상대 논란 ‘재점화’
복지부, 의협·학회 투트랙 접촉 추진···醫 “대화창구 의협 단일화”
2018.05.30 06:23 댓글쓰기

올 하반기로 예정된 MRI 급여화를 앞두고 대한의사협회가 불편한 기색을 보이고 있다. 정부가 의협이 아닌 개별 학회와 논의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의협과 보건복지부는 지난 25일 의정실무협의체를 개최하고 향후 협의체의 의제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의협과 복지부는 오는 하반기에 예정된 MRI 비급여에 대한 논의도 진행하기로 했다.


다만, 복지부는 MRI 급여화 논의를 위해 의협뿐만 아니라 개별학회와도 접촉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의협은 MRI 급여화에 대한 논의 창구가 의협 비대위로 단일화돼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의협 정성균 기획이사 겸 대변인은 데일리메디와의 통화에서 “복지부는 의협과 MRI 급여화에 대한 의정실무협의체를 진행하면서 중간에 다른 학회들과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한다는 입장”이라며 “의협이 MRI 급여화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모르지 않냐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 대변인은 “의협과 학회 간에 의견을 조율하는 방법도 있는데 복지부는 의협과의 대화, 학회들과의 대화 등 투 트랙으로 가려고 하는 것 같다”며 “대화 창구 일원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의협과 복지부는 지난 4월 상복부 초음파 급여화 시행을 앞두고도, 예비급여 관련 대화 창구 단일화 문제로 마찰을 겪은 바 있다.


당시 의협 대표였던 비상대책위원회가 해체되고 최대집 회장을 필두로 한 새 의협 집행부가 구성됐지만 여전히 좀처럼 갈등을 좁히지 못하는 모습이다.


실제로 최대집 회장은 취임 이후 대한의학회 장성구 회장과 각 학회 이사장 및 회장을 만나면서 정부와 개별 접촉을 하지 말아줄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의협은 상복부 초음파 급여화 시행과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기로 한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3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울사무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한다.


정 대변인은 “의료계는 분명한 문제 제기와 우려를 지속적으로 표명하고 있다”며 “MRI 급여화를 포함한 문재인케어에 대해서는 의협과 협의해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어 그는 “의정실무협의체에서 문케어 시행에 대한 부분을 논의하기로 한 만큼  학회와의 논의가 아닌 의협과 논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