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국가 HT 발전을 위해 ‘HT포럼’이 발족한지 5년이 지난 현재 그 개념이 정착 단계에 이르렀다는 평가다. 이제는 포럼위원회 구성부터 학제 간 연계 등 보다 발전된 형태로 자리잡아, 장기적으로는 HT 국가가 되기 위한 자세를 갖추게 됐다."
지난 30일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열린 ‘HT포럼 운영위원회 워크숍’에서 선경 위원(고려대 의과대학 교수)[사진]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HT 포럼 성과와 비전’에 대해 발표했다. 특히 포럼이 운영이 되는 동안의 성과는 물론, 문제점 등도 짚어내 향후 발전을 위한 발판을 다졌다.
HT포럼은 지난 2009년 보건의료 R&D 관리체계 선진화 방안으로 처음 설립됐다. 초기엔 R&D에 대한 무게중심이 컸지만 이제는 산업화 연계 등으로의 그 의미가 더욱 넓어졌다. HT는 헬스케어 실현을 위한 광범위한 기술을 일컫는 개념이다.
선경 위원은 “R&D 정책에 대한 공론화를 위해 HT포럼이 추진됐다. 때문에 초기 R&D에 포커스를 둔 것은 사실이다. 그러면서 포럼 위원회 구성도 대부분 M.D 출신들이었다. 기업체 대표들도 약사 출신이었다”며 초반 HT포럼에 대한 모습을 설명했다.
하지만 점차 HT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운영위원회 구성부터 변화되기 시작했다. 지금은 그 위원회 구성원에 기자와 각 센터장들도 포함돼 있다.
그 외에도 많은 내·외적 변화가 있었지만 장단점은 꾸준히 존재해왔다. 선경 위원은 “지난 5년 동안을 돌아보면 HT에 대한 개념이 확실히 정립됐다. 우리나라에 없던 용어가 빠른 시간 내 정착된 셈이다. 하지만 성과 차원의 정책적 피드백이 부족했던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의료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했고, 이를 통해 학제 간 공유가 가능하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평가했다.
앞서 HT포럼은 주무부처 보건복지부가 운영을 주도했다. 그러면서 쌍방향보단 일방적 소통이 있었단 지적이다. 이에 따라 2012년부터 정책 피드백을 위해 복지부 주도에서 민간 중심으로 운영체계를 재설정했다. 보건산업진흥원 지원체계는 유지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문제점이 다시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선 위원은 “민간중심 운영체계로 변경한 것은 좋은데 과연 이를 그대로 유지해야 하는가에 대한 지적의 목소리도 있다. HT포럼이 어디 소속이고 어떠한 편제로 가야할 것인가와 예산 지원 근거, 주무부처가 어딘가에 대한 부분들”이라고 설명했다.
분명한 것은 HT포럼의 지향점을 확실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선 위원은 “과거처럼 ‘복지’라는 한 통로에만 조명할 것이 아니라, 차세대 먹거리 산업으로 가고 있는 만큼 HT포럼은 위에서 아래(상의하달)는 물론 아래에서 위로(하의상달)의 소통 통로가 함께 해야 한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HT에 대한 리더십을 발휘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