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서울백병원, 종합의료시설 추진"
"주민 의견 청취 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진행 예정"
2023.06.20 11:48 댓글쓰기

서울시가 폐원 기로에 놓인 서울백병원을 도시계획시설(종합의료시설)로 결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번 조치는 도심 내 감염병 전담기관 역할을 해준 것을 높이 평가하며 앞으로도 중요한 역할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고민해 나가겠다는 취지다.


서울백병원 부지가 도시계획시설로 결정되면 병원 등 의료시설로만 사용할 수 있다.


서울시는 도심 내 서울백병원 기능이 지속 유지될 수 있도록 도시계획시설로 결정하는 것을 검토하고 해당 절차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


시는 중구청에서 도시계획시설 결정안을 제출하면 열람공고 등 주민 의견을 청취한 뒤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즉각적인 절차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학교법인 인제학원이 이사회에서 서울백병원 폐원안을 통과시킬 경우 오는 8월말 폐원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전망에 이러한 방안을 추진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학교법인 인제학원은 20일 오후 3시 서울백병원 건물에서 이사회를 열고 '서울병원 폐원안'을 의결할 예정이다.


폐원안이 의결되면 지난 1941년 '백인제외과병원'이라는 이름으로 문을 연 뒤 82년간 자리를 지켜온 서울백병원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법인 측은 지난 2004년 이후 20년 간 누적된 적자가 1745억원에 달하고 있어 폐원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서울백병원 직원들이 병원 앞에서 '폐원 안건 상정 철회 촉구' 시위를 펼치고 있다.

시는 서울백병원이 중구 내 유일한 대학병원이자 감염병 전담병원인 만큼 지역 내 의료 공백 등이 생기지 않도록 서울백병원에 도시계획적 지원책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병원 측과 빠른 시일 내에 만나 심도 있게 논의 할 수 있도록 서울백병원, 서울시, 중구청 등 관련 기관 간 협력 구조를 구축하기로 했다.


시는 또 서울백병원과 같은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중구와 종로구 등 도심 일대에 위치한 서울대병원, 적십자병원, 강북삼성병원, 세란병원 등 4개 종합병원에 대해서도 모두 도시계획시설 결정을 검토할 예정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백병원처럼 시민 생명을 책임지는 사회적 책무가 따르는 의료기관은 지역사회에 대한 소명을 가지고 그 역할을 지속해 나아가야 한다"며 "서울시도 함께 다각도로 고민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 1
답변 글쓰기
0 / 2000
  • 오혜선 06.20 18:44
    반갑고 감사드립니다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