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방역 중대기로···'하루 1000명 발생' 경고
'확산세 안멈추면 현 의료체계로 감당 불가, 체육관·컨벤션 등 활용 모색해야'
2020.12.08 06:0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임수민 기자] 오늘(8일)부터 시작되는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 등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정책에 대해 전문가들이 "시기가 너무 늦고 한계가 분명하다고 평가하면서 확산세가 쉽게 누그러지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 자칫 의료체계가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인 집단감염이 발생한 상황을 고려하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격상을 좀 더 빨리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7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615명 늘어 누적 3만8161명을 기록했다. 일일 확진자가 100명 이상 세 자릿수를 기록한 것은 지난 11월 8일부터 이날까지 30일째로 한 달간 이어지고 있다.

특히 평일 대비 검사 건수가 8000건 이상 줄어든 주말에도 확진자가 600명 선을 넘어서고, 양성률이 4%대까지 치솟는 등 유행 상황을 보여주는 각종 지표가 연일 악화하고 있다.

이에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확산을 잡기 위해 오늘(8일) 0시부터 수도권은 2.5단계, 비수도권은 2단계로 사회적 거리두기 수위를 0.5단계씩 올렸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미 여러 건의 집단감염이 발생하고 있어 통제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단계 상향도 신속하게 이뤄지지 않아 3차 대유행의 여파가 겨우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11월 19일 이후 공식적으로 시작한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1.5단계의 효과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같은 달 24일부터 시작된 2단계 효과는 한동안 환자 발생 추이를 보면 알 수 있겠지만 그리 밝아 보이지 않는다. 당장 오늘내일 확진자 수가 더 늘어나지 않길 바라는 정도”라고 말했다.

이어 "방역 현장에서는 지금 수도권 상황이 거리두기를 2.5단계로 올려도 쉽지 않다고 보는 의견이 많다"며 "이미 적어도 1∼2주 전에 단계를 올렸어야 한다. 2.5단계 격상 효과는 2주가량 지나야 나올 텐데 그러는 사이 700∼800명, 1000명까지도 환자가 나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우주 고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또한 “일일 확진자가 400~500명 수준이 된 게 일주일 전”이라면서 “2.5단계 상향을 1, 2주 전에 했으면 이렇게 확산되지는 않았을 텐데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 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방역만 놓고 보면 2.5단계도 이미 늦었다"며 "전파 양상과 계절적 요인, 격상 시기를 고려할 때 예전처럼 거리두기 격상 효과가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환자가 줄지 않고, 거리두기 효과가 발휘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면 올려놓은 단계로 1∼2주가 아니라 꽤 긴 시간을 가야 할 수도 있다"면서 "이번 유행의 여파가 3월까지 갈 것"이라고 우려했다.

감염학회 등 전문가 단체 "기존 정책 수정, 변화 적극 모색" 촉구 

정부의 중환자 병상 확보 정책도 한계점이 분명해 충분한 병상을 확보하기 위해선 정책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6일 기준 전국 중환자 병상과 코로나19 환자 전용 중환자 병상을 합친 총 550개 가운데 환자를 바로 수용할 수 있는 병상은 8.2%인 45개 뿐이었다.

위·중증 환자가 아닌 일반 코로나19 확진자를 수용하는 감염병 전담 병상의 경우 전국 4,657개 가운데 30.5%인 1,424개를 이용할 수 있는 상태다. 정부가 지속해서 보유 병상을 확충하고 있지만, 신규 환자가 더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가동률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7일 대한감염학회와 대한중환자의학회 등 전문학술단체는 ‘코로나19 급증에 따른 중환자 진료체계 구축을 위한 전문학술단체 성명서’를 내고 “코로나19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중환자 치료 역량을 최대한 확대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금 정부는 중환자 진료 병상 확충에 대한 충분하고 효과적인 대책 없이 한계가 명확한 추가 병상 확보 방안만을 고수하고 있다”며 “급증하는 환자에 대비하고 충분한 병상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정책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상급종합병원에 기반한 대응에서 벗어나 거점 전담병원 및 체육관, 컨벤션 등을 활용한 대형임시병원 구축 병행 등 단계적 대응 방안 수립을 촉구한다”며 “현재의 정책을 넘어 급증하는 중환자들에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학회를 포함한 전문가들 의견을 경청하고 현명히 대처해달라”고 덧붙였다.


댓글 1
답변 글쓰기
0 / 2000
  • 도재봉 12.08 07:50
    전문가 의견 무시하고 정치적으로 대응하니까 이 모양이지 정은경이는 앵무새처럼 나불거리고 K병역 수출한다고 떠들고 확산되면 국민 탓 에휴~~~~~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