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정원 확대, 병협↔의협 '온도차' 확연
의료계 양대단체, 당정협의 결과 발표 관련 “환영” vs “반대” 엇갈린 반응
2020.07.23 14:53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당정이 2022년부터 10년 간 의과대학 정원 4000명 확대를 결정하자 의료계 양대단체인 병협과 의협이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대한병원협회는 쌍수를 들고 환영했지만 대한의사협회는 총파업 불사를 외치며 격하게 반대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23일 의과대학 정원 확대 및 공공의대 설립 추진방안을 발표하고 주무부처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시행 준비에 돌입하기로 했다.
 
의과대학 정원 4000명을 늘리고, 이 중 3000명을 지역 의료인력으로 양성한다는 방안과 폐교된 서남의대를 활용한 국립공공보건의대 설립이 골자다.
 
이에 대해 대한병원협회는 즉각 환영의 뜻을 밝혔다.
 
병원협회는 정부의 증원 계획은 인력 수급난 해소에 충분치 않지만 이제라도 의료현장의 고충을 헤아려 의대 입학정원 증원계획 방향성을 제시한 것은 다행이라고 평했다.
 
병협 연구결과에 따르면 의대 입학정원을 최소 500명 증원시 2065년에 의사 수급이 적정 시점에 도달하고, 1500명 증원시 2050년에야 적정할 것으로 추산됐다.
 
정영호 회장은 환자안전과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의료인 확보는 우선시 돼야 하며, 병원이 의료인력을 구하지 못해 환자안전이 위협되지 않도록 개선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어 의사가 잘 교육되고 지역 및 감염 등 특정 분야에 적정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병원계와 함께 논의해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데에 힘써 달라고 덧붙였다.
 
반면 대한의사협회는 당정의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 방침에 정면으로 반발하고 나섰다.
 
대한의사협회는 이날 당정회의가 진행된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사 증원 정책을 저지하기 위해 총파업 등 집단행동을 불사하겠다며 강경 대응을 경고했다.
 
구체적으로 의협은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대의원 총회 의결을 거쳐 다음 달 14일이나 18일 중 하루 전국 의사 총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최대집 의협회장은 의료인력 부족은 억누르고 쥐어짜기에만 급급한 보건의료 정책 때문이라며 무분별한 의사인력 증원은 의료비 폭증, 의료의 질 저하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의사인력 증원은 전문가 단체인 의협과 논의해야 한다의료계 요구를 무시한 일방적 정책 추진으로 의료계 투쟁이 발생한다면 그것은 오롯이 정부 책임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