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의료 참여, 한의과대학 정원 축소 등 의료계 '뜨거운 감자' 논의 합류를 노려온 한의계가 "현재 이어지고 있는 의과 전공의들의 공백을 메우겠다"고 선언했다.
대한한의사전문의협회, 대한한의과전공의협의회, 대한공중보건한의사협의회(이하 단체)는 22일 공동 성명을 내고 이 같이 주장했다.
금년 전공의 파업 사태 이후로 이들 단체가 뭉쳐 공식 입장을 피력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오전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근무지를 이탈한 전공의는 8024명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단체는 "의사들 집단행동으로 인한 의료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의료현장 최전선에 나서 국민 건강을 책임지겠다"고 선언했다.
단체의 대정부 요구사항은 ▲의료공백 현장에 한의사 전문의 및 한의과 전공의 투입 ▲한의대-의대 졸업생의 교차수련 허용 ▲보건진료전담공무원 경미한 의료행위에 공중보건한의사 진료권 보장 등이다.
그러면서 단체는 현재 근무지를 이탈하고 전국 궐기대회를 개최하고 있는 의료계를 저격했다.
단체는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인한 의료공백이 국민 건강과 보건의료체계에 큰 위해를 끼치고 있다"며 "국민 기본 권리인 건강권이 침해당하고 공공보건의료와 지방의료는 이미 파탄에 이르렀다"고 비판했다.
이에 더 이상 현장 의료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전국 8개 전문분과 한의사 전문의와 4년 과정의 수련 중인 한의과 전공의, 공중보건한의사가 의료현장 최전선에 나가겠다는 것이다.
전공의의 경우, 경희대학교·가천대학교·원광대학교·동국대학교·부산대학교 5곳에 의대와 한의대가 모두 있다. 단, 부산대는 한의학전문대학원이다.
앞서 21일 서울시한의사회도 "각 과 전문분야 한의사들과 함께 의료 재난에 맞서 한의의료기관이 적극 진료해 국민들을 보호하겠다"고 밝혔다.
의대 정원 확대와 관련해서는 "정부가 결단한 필수의료 정책을 환영한다"며 의료제도의 대대적인 손질이 불가피하다는 데 동조했다. 그러면서도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효과는 10년 후에나 나타난다"고 우려했다.
이에 서울시한의사회는 "한의사도 시행 가능하지만 양의사의 행위로만 등재돼 있는 수많은 의료행위에 대해 동등한 업무가 가능하도록 제도적 보완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치권에서도 한의대 정원 감축 및 '의료일원화'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
앞서 "한의대 정원을 의대 정원으로 흡수하고 '통합의료'와 의료일원화를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해온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은 2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토론회를 열고 미래 통합의료 방향을 제시했다.
신 의원은 "정부 측으로부터 의료계와 한의계의 통합에 대한 긍정적 답변을 받았지만, 21대 국회에서 가시화되고 있지 않다"며 "의대 정원과 한의대 정원에 대해 정치적 공방으로 사회적 비용을 낭비하지 말고 건설적 토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