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학과의 경우 의과대학 시기부터 적합한 교육 및 수련과정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가정의학교실 미개설 대학이 있어 학회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가정의학교실 미개설 대학은 전체 의과대학 가운데 경상대, 서남대, 전남대, 전북대, 중앙대, 충북대 등 6곳이다.
일차의료 활성화를 위한 첫걸음은 교육과 수련이지만 미개설로 인해 일차진료 의사로서의 방향성 찾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한가정의학회 김영식 이사장은 6일 “대학병원 가정의학과의 역할은 교육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서도 “문제는 일부 의과대학에 가정의학교실이 없다는 점”이라고 피력했다.
이들 대학 졸업생 가운데서도 가정의학 전문의 취득자가 나오고 있기에 학회는 올해 해당 대학에 공문을 보내, 가정의학교실 개설과 교육의 필요성을 어필한 바 있다.
그는 “학생들이 6년 내내 대학병원서 초전문진료만을 경험하다 보니 그쪽을 많이 선택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더욱이 의료정책이 일차와 3차 간 경쟁을 부추기는 구조가 생겨나 이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학회에 따르면 각종 임상 검사, 영상의학적 검사, 고가 첨단 장비를 이용한 검사 및 치료행위 가치는 높게 책정돼 있는 반면 진찰과 상담 가치는 저평가돼 있다는 것이다.
오한진 총무이사는 “대학병원을 첫 일차의료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대학이 가지는 강력한 무기들, 진단과 검사 분야를 적극 활용하는 외래와 일차의료기관에서의 외래는 도저히 승부가 나지 않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일차와 3차가 경쟁하듯 하다 보니 일차의료 시스템이 망가지는 것”이라면서 “말뿐인 일차의료 활성화가 아니라 이번 기회를 통해 그 체계와 정의를 명확히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의료계에 만연한 배치 불균형으로 인해 생겨난 의료취약 계층 및 지역 해소를 위해 일차의료 인력 양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영식 이사장은 “의료취약 계층 및 지역 해소를 위해서는 양질의 일차의료 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 국가에서 책임지고 양성해야 한다”며 “양성 비용과 같은 국가 지원을 바탕으로 일차의료 인력이 양성되면 파견 수련 등 학회에서 적극 협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차의료라는 것이 가정의학과만의 일이 아니”라면서 “여전히 일차의료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내리기 힘들고 관련 법 및 정책적 시행이 부족하다. 조만간 일차의료 관련 사안을 공론화하는 자리를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