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기콩팥병 원인질환 48%가 당뇨병으로 국가 주도의 사전 관리가 제공된다면 신장투석 지연 등 삶의 질 향상과 건강보험재정 절감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국내 말기콩팥병 환자는 10년간 2배 늘었고 당뇨병으로 인한 말기콩팥병 증가 속도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지만 국가주도 예방 및 관리시스템은 부재한 실정이다.
"만성콩팥병관리법(가칭) 제정, 시행 절실한 시기"
김용균 대한신장학회 등록이사(성빈센트병원 신장내과)는 최근 데일리메디와 만나 "말기콩팥병 등록사업(Korean Renal Data System, KORDS)을 법제화하고 만성콩팥병관리법(가칭)을 제정,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말기콩팥병 환자 1인당 평균 진료비는 2021년 기준 2838만원으로 단일 상병 중 가장 높다. 같은 기간 총 진료비는 2조1647억원으로 연평균 6.8%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위험성으로 최근 신장병학회는 말기콩팥병 팩트시트 2024를 발간했다. 하지만 이는 국가지원 없이 학회 차원에서 만들어진 데이터라는 대목에서 안타까운 측면이 있다.
김용균 이사는 "학회가 자비로 아르바이트 인원을 고용해서 투석병원마다 직접 전화해 투석 데이터 등록 및 제공을 읍소해 겨우 자료를 모아 팩트시트를 발간하게 됐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김 이사에 따르면 17명의 신장학회 등록위원회들의 무급봉사, 사무직 고용 등 1년간 눈물겨운 노력으로 팩트시트를 만들어냈다. 금전적 대가가 아니라 KORDS 법제화로 환자관리 토대를 만들기 위해서다.
김 이사는 "미국은 정부가 신장환자 등록시스템(United States Renal Data System, USRDS)으로 환자를 관리하고 이는 홍콩도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등록해야 국가가 투석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을 쓴다"며 "등록 시 환자 기본 데이터 및 검사 자료, 환자 상태 등을 입력토록 해서 환자를 추적, 관찰한다"고 강조했다.
팩트시트를 위해 학회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나이 ▲성별 ▲투석 시작 시간 ▲원인 질환 ▲투석방법 ▲투석 혈관 통로 ▲검사결과지 ▲혈압 ▲혈당 ▲사망 여부 ▲전원 여부 ▲호르몬 조혈제 사용량 등 수십가지에 이른다.
KORDS 법제화 국회 노크 좌절 등 과정 험난
신장병학회는 지난 2023년 5월께 당뇨병콩팥병 및 만성콩팥병의 국가 중점 관리체계 수립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다.
또 국민 콩팥건강개선안 2033을 선포해 향후 10년간 예상 만성콩팥병 환자 10% 감소, 당뇨병콩팥병에 의한 말기콩팥병 환자 비율 10% 감소 등의 목표를 내세웠다
하지만 여러 노력에도 법제화까지는 이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만성콩팥병 예방 및 관리시스템 법제화가 여전히 필수적 요인이라는 설명이다.
김 이사는 "만성콩팥병은 환자 개개인은 물론 사회·경제적 부담이 매우 큰 질환으로 특히 당뇨병콩팥병과 말기콩팥병의 높은 발병률과 유병률을 고려해 국가가 중점 관리해야 한다”면서 “국가 관리로 투석시기를 늦추고 말기콩팥병 환자에 대한 국가등록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말기콩팥병 환자의 발병률은 2010년 9335명에서 2022년에는 1만 8598명으로 12년간 두배 증가했다. 유병률은 2010년 5만860명에서 2022년 13만 4826명으로 12년간 2.3배 증가했다.
그는 "말기콩팥병 원인으로 당뇨병이 48%로 가장 많고 고혈압이 21%를 차지한다"며 "약제가 별로 없고 당뇨 환자가 지속 증가해 콩팥병 환자도 덩달아 늘어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SGLT-2억제제나 피네레논 등 신장 신약의 상용화로 관리 여건이 나아지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라며 "정부가 주도적으로 환자 추적 및 관리할 경우 치료 및 관리를 외면하고 투석만 고집하는 일부 요양병원 행태도 시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