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5일 의료기관별 2024년 비급여 가격(진료비용)을 심평원 누리집과 모바일 앱 ‘건강e음’을 통해 공개한다.
비급여 가격(진료비용) 공개제도는 의료기관마다 차이가 있는 비급여 진료 항목 가격 정보를 공개해 국민들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합리적 의료 선택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로 올해는 전체 의료기관의 623개 비급여 항목의 가격을 공개한다.
공개 항목은 치료재료(167개), MRI(75개), 초음파검사료(78개), 예방접종(63개), 기능검사료(46개), 처치 및 수술료(44개), 치과처치·수술료(20개), 치과의 보철료(14개), 보장구(12개), 제증명수수료(31개), 기타(73개)등이다.
도수치료와 백내장 수술용 다초점렌즈, 비밸브재건술 등은 기관별 가격 차이 커
2024년 비급여 가격(진료비용) 조사·분석 결과, 전체 항목의 65.7%(334개) 평균 가격이 인상됐고 32.7%(166개) 평균 가격이 인하됐다.
국민적 관심이 높은 도수치료의 경우 평균 가격이 전년대비 2.5%, 대상포진 예방접종비는 10.6% 인상됐다. 또 도수치료와 백내장 수술용 다초점렌즈, 비밸브재건술 등은 기관별 가격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누리집을 운영하지 않는 의료기관은 기관 내부에 책자와 메뉴판, 벽보 등을 통해 고지한다.
앞서 정부는 지난 8월 30일 발표한 의료개혁 1차 실행방안에 따라 소비자가 관심있는 비급여 정보 제공을 확대하고 가격 편차가 큰 비급여 항목은 의료계 협의를 통해 적정 가격 설정을 유도하는 방안 도입을 검토할 계획임을 밝혔다.
권병기 복지부 필수의료지원관은 “국민들의 합리적 선택을 지원하는 비급여 가격(진료비용) 공개제도가 시행된 지 4년이 됐다. 앞으로도 소비자·의료계 등 여러 분야 의견을 청취해서 의료 선택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가격공개 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혜정 심평원 급여전략실장도 “지난 10년간 축적된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 업무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민들께 신뢰할 수 있는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 제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