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B2B 활성화…정부 제도적 뒷받침 시급'
2002.09.06 01:49 댓글쓰기
최근 확정된 '의료물품표준분류체계'(KMSPSC)를 활용해 의료계의 전자상거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병협을 중심으로 추진중인 '의료물품분류 표준화사업'에 식약청이나 복지부등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병원협회 병원정보화추진위원회(위원장 이철옥)는 5일 서울대병원에서 '의료업종 물품분류체계 수립 및 적용'을 주제로 공청회를 열고, 의료계를 비롯 의료기기산업협회·제약협회·보건사회연구원·보건산업진흥원 등의 관계자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최근 병원정보화추진위가 서울대병원등 8개 병원의 의약품·의료소모품·의료기기 등의 물품목록자료 및 보험급여 대상품목을 참조해 구축한 '한국의료물품표준분류체계(KMSPSC)' 및 '코드관리시스템(CMS)'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기됐다.

토론자로 참석한 심평원 이평수 상무는 "현재 각 병원에서는 의약품이나 의료기기 구매시 전자상거래에 참여해야 할 필요성을 전혀 못 느끼고 있다"며 "e마켓플레이스를 통한 전자상거래에 병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참여병원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상무는 "특히 식약청이나 복지부가 현재 병협에서 추진하고 있는 물품분류표준화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또한 EDI나 EMR에 현재 확정된 물품분류체계를 적용토록 추진하는 것도 전자상거래를 활성화시키는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의협 의료정책연구소 유승용 이사는 "전자상거래 활성화의 기반이 되는 물품분류표준화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복지부나 식약청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의료기기산업협회 장건오 상무는 "물품분류표준체계 중 의료기기의 경우 식약청 픔목코드와 연계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또한 전자상거래를 통한 온라인 구매가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병원의 오프라인 유통관행을 극복하는 방안이 고려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보사연 정영철 책임연구원은 물품분류표준화 사업에 복지부나 식약청 주도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먼저 의료계에서 구체적인 지원방안과 정책대안을 수립해 요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안재봉 한국신용평가정보원 인터넷사업팀장은 "이번에 확정된 의료물품표준분류체계는 전자상거래용 코드관리 국제전문기관인 에크마(ECCMA)에서 운영하는 UNSPSC를 기준으로 국내실정에 맞게 자릿수를 2자리로 확장해 수립한 분류체계"라고 소개했다.

안팀장은 "이 분류체계는 병원은 물론 제약사, 의료기기 공급사, e마켓플레이스 모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