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실적분석 모델 구축
심평원, 1억여원 투입 연구···환자 만족도 등 조사
2018.08.03 16:5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근빈 기자] 지난 5월30일부터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이 추진된 가운데 본 사업 전환을 위한 실적검증 등 연구가 시작된다.


장애인 건강주치의 제도는 중증장애인이 거주 지역 내 장애인 건강주치의로 등록한 의사 1명을 선택해 지속적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제도다. 일반건강, 주장애, 통합관리 등으로 형태가 구분된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10개월간 1억1000만원의 예산을 확보해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평가’ 연구에 착수한다.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모형의 적절성 및 효과성 평가 ▲본 사업으로 성공적 전환하기 위한 사업모형의 개선안 도출 ▲장애인 건강주치의 제도의 확장성을 근거한 중장기 발전방향 등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다.


세부적으로 시범사업 운영 실적 분석 (참여현황, 서비스 이용현황 등), 진료행태 분석 (사업도입 전후의 변화 등), 모형의 적절성 및 효과분석을 진행한다.

특히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대상자 만족도 조사도 시행된다.


참여 장애인을 대상으로 건강주치의 서비스 내용, 의료기관 편의시설, 의료기관 종사자 친절도 등을 면접조사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 참여 건강주치의에게도 시범사업 서비스 유형이나 내용, 등록절차, 건강주치의 교육 등을 설문조사 또는 그룹인터뷰 방식으로 만족도를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심평원은 “장애인 건강주치의 제도 개선방안 모색을 통해 건강증진 및 의료 접근성 강화 기여할 것이다. 이번 연구는 모형의 적절성 및 효과성 평가자료 제공되며 본 사업 전환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