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 응급·행정입원비 '본인부담금' 전액 지원
복지부, 금년부터 대상·범위 확대···외국인도 치료비 제공
2021.02.05 06:11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백성주 기자] 정신질환 발병 초기 집중 치료를 유도하고 꾸준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올해 정신질환 치료비 지원 대상 및 범위가 확대된다.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이 같은 내용의 2021년도 정신질환 치료비 지원 대상 및 범위안을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사업은 정신질환자의 발병 초기 집중치료 유도, 응급상황 입·퇴원 후 적절한 치료 유도를 위해 마련됐다.

올해부터 확대 적용되는 사항은 우선 자·타해의 위험성이 높아 대상자의 긴급한 처치가 필요한 응급‧행정입원의 경우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치료비를 전액 지원하기로 했다.
 

발병 초기 정신질환과 외래치료 지원의 경우 이제까지 중위소득 65% 이하 대상자에게 지원하던 것을 올해부터는 80%(건강보험료 소득판정기준표 2021년 4인가구 기준 390만1000원) 이하까지 확대 지원한다.


아울러 발병 초기 환자에 대한 치료비 지원 대상 질환을 확대, 중증정신질환자가 진단 초기부터 적극적 치료를 통해 만성화를 예방할 수 있도록 했다.  

실제 기존 ’조현병, 분열·망상장애(한국 표준 질병‧사인 분류 F20-F29)‘에서 ’기분(정동)장애 일부‘까지 확대됐다.

정부는 1인당 연간 최대 450만 원의 상한액을 정해 적절한 수준의 치료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는 기존 데이터에 근거, 건강보험가입 환자가 1년간 응급입원 4회(50만 원), 행정입원 2회(4개월, 320만 원), 외래치료 8개월(32회, 80만 원)의 치료비 지원을 가정해 설정됐다.

이 외에 이제까지 건강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던 경우에도 정신질환 치료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했다.

주민등록말소자는 주민등록을 재등록하고, 건강보험 미가입자는 건강보험 가입 후 치료비 지원을 신청할 수 있고 외국인에 대해서도 치료비 지원이 가능하다.


치료비 지원 신청은 환자를 진료한 정신의료기관 또는 진료비를 납부한 환자 등이 보건소에 신청하면 된다.


염민섭 정신건강정책관은 "이번 치료비 지원 대상자와 범위 확대를 통해 정신질환자가 적시에 적절하고 꾸준한 치료를 받아 치료 중단으로 인한 급성기 위험과 만성화를 예방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3
답변 글쓰기
0 / 2000
  • 김민경 12.17 16:35
    전대병원에서 조현병으로 3개월 입원후 퇴원했는데 본인부담금 330 만원 계산했어요. 정부에서 전액지원해준다고 했는데 330 만원 계산했읍니다.
  • 최대열 07.04 15:59
    알콜병원 행정입원시 병원비.식대.계산은 처리가 어덧게돼나요
  • 최대열 07.04 15:56
    알콜병원 행정입원시 병원비.식대비 계산은 어덧게처리돼나요.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