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김철중의학전문기자, 국내 첫 일본특파원
'미래 우리나라 가장 큰 문제는 고령화, 日 실패·성공사례 분석해 대안 모색'
2018.02.19 06:18 댓글쓰기


"한 번도 경험한 적 없는 고령사회 쓰나미 조만간 닥칠 수 있어"
"일본의 고령화정책 실패는 답습하지 않고 성공 따라할 수 있도록 연구"

[上]
국내 언론계에 의학전문기자의 선구자 격으로 새로운 전문기자 상(像)을 정립한 조선일보 김철중 의학전문기자(고대의대. 영상의학 전문의)가 3월 일본특파원으로 떠난다. 전문기자가 해외특파원으로 발령받기는 국내 언론계 사상 처음이다. 김철중 기자는 우리나라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가 곧 닥쳐올 '고령사회'라고 진단했다. 그래서 김철중기자는 우리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고령사회의 문제를 분석,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특파원이라는 새로운 직책을 수행키로 했다. 특히 우리보다 15년 쯤 먼저 경험하고 있는 일본의 고령사회 문제와 함께 이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노인들을 위한 선진 의료체계를 집중 취재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가 앞으로 어떻게 고령사회를 극복해 나가야하는지 작은 해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본 부임을 앞두고 국내 언론계에 또 다른 이정표를 세우고자 여념이 없는 그를 만나봤다.[편집자주]


Q. 의학전문기자가 해외특파원으로 나간다는 게 생소하다


금년 3월부터 일본 의학특파원으로 1년 정도 나간다. 임무는 고령사회를 취재하기 위한 전문기자특파원인데 우리나라 언론에서는 처음이다. 그러나 일본은 과학전문기자나 환경전문기자를 해외특파원으로 보낸 경우가 꽤 있다. 우리나라 노령인구가 곧 엄청나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선배인 일본의 고령사회 성공과 실패를 취재하면 앞으로 우리 미래를 설계하는데 중요하지 않을까 한다. 그런 차원에서 일본특파원으로 나간다.


Q. 노인의학을 집중 취재한다고 들었는데
 

일본은 고령자가 전체 인구의 거의 27~28%다. 그러다보니 사회 자체의 움직임 패턴이 우리나라와는 완전히 다르다. 한국은 65세이상 인구가 지난해 14%를 넘었고 불과 7년 후인 2025년에는 20%를 넘을 것으로 예상돼 우리도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지금 60세가 된 사람들부터 50대들은 당시 한해에 거의 90만명에서 100만명이 태어났다. 지금도 고령사회라고 하는데 이 그룹이 고령사회를 향해 오고 있다. 이 그룹이 고령사회로 간다면 어마어마한 일이 벌어질 것이다. 전 세계에서 한 번도 일어난 사례가 없다. 나는 조만간 우리나라에 고령사회의 쓰나미가 곧 닥친다는 위기감을 느낀다.


Q. 고령사회 쓰나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 부탁한다
 

나는 앞으로 한국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가 ‘고령화가 아닐까?’라는 느낌을 받았다. 대외적으로는 북핵 문제이고 대내적으로 고령화라고 생각해 "일본에 가야겠다"라고 생각했다. 그 다음은 노인의학이다. 나도 의사지만 부친이 올해 90세인데 아버지 증상이랑 진료하는 거 보면 나도 모르는 게 너무 많아 노인의학은 ‘다른 의학이구나. 새로운, 아니 새롭다기보다는 별개의 의학이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소아과를 별도로 치듯이 노인의학도 다르게 봐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병의원 진료는 고령자 위주 진료가 없고 의사들조차 고령의학이나 노인의학에 대해 잘 모른다. 잘 모르고 평소대로 처방하고 치료하니까 효율성이 떨어지고 낭비가 벌이지고 제대로 처치가 이뤄지지 않는다. 하지만 이건 전체적인 의료서비스와 의학교육의 개편이 맞물려 가야 된다. 그렇지 않고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다.


Q. 왜 일본으로 가게됐는지


일본은 인종적으로 우리와 유전자가 거의 100%에 가까운 99%가 같다. 가족 배경으로 살아가는 구조, 즉 라이프스타일과 먹는 게  굉장히 유사한데 너무나 고맙게도 일본이 우리보다 15년 정도 앞서가고 있는 게 고령화 비율이다. 게다가 2050년도에는 고령화 속도가 일본을 따라잡는다고 예상되고 있다. 너무나 고마운 선배 나라가 아닌가 싶다. 우리가 고령화 선배인 일본을 정확하게 12년에서 15년 격차로 쫒아가고 있으니까 일본에서 지금 벌어지고 있는 고령화 현상과 문제는 우리의 10년 후 모습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래서 일본의 실패는 답습하지 말고 일본의 성공을 따라해야 한다. 일본은 우리의 좋은 거울이다. 어떻게 보면 우리는 럭키(Lucky) 한거다.


이찬휘 논설위원 기자 (chanhwi2001@naver.com)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