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4년 1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오바마케어’에 발맞춰 국내 제약 및 의료기기 업계가 지금부터 적극적으로 준비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간한 ‘오바마케어에 따른 보건산업 변화와 전망’에 따르면 미국 보건산업시장의 급격한 변동이 예측됨에 따라 국내 업계에서도 시급히 대응에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오바마케어는 지난 2012년 11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면서 미국 내 3200만명이 의무보험에 가입해야 되는 정책이다. 전세계 헬스케어 시장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타 지역 보건산업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실제로 의약품 지역별 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미국은 2011년 기준 36.7%(3462억불)로 세계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의료기기 역시 미국은 2011년 44.9%(1341억불)로 압도적인 비중을 보이고 있다.
건강보험개혁인 오바마케어가 도입된다면 신규 보험가입자들의 병원 및 의료시설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미국 내 헬스케어 시장이 고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의견을 뒷받침하고 있다.
미국 의료기기 업체들은 신규 보험가입자 증가에 따른 병원이용 및 검진 증가로 인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FDA 승인 제품의 경우 올해부터 2.3%의 소비세를 내야한다는 점이 현지 업체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현지 언론은 의료기기 산업에 적용될 추가 세금규모는 2014년부터 향후 10년 간 약 200억달러 수준인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과거 국내 주요 제약 및 의료기기 업체의 주가를 보자면 오바마 대통령 재선 전과 후로 변동폭이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오바마케어의 시행도 국내 제약 및 의료기기 업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보고서는 “제약시장은 제네릭 의약품 시장의 성장률이 높게 예측되는 만큼 기술경쟁력을 앞세워 글로벌 제약기업들과 협력하며 미국시장을 진출한다면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의료기기 시장의 경우 우리나라 업체의 높은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미국시장에 진출한다면 소비세 부과로 인해 상승된 가격의 미국 의료기기 업체보다 시장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한 보고서는 “오바마케어로 인한 미국 헬스케어 시장 변화가 국내 보건산업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관련 영향요인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