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 방해꾼 '강박장애' 요주의
이정석 교수(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2024.04.14 20:23 댓글쓰기

강박장애는 강박사고 및 강박행동을 보이는 정신질환이다.


원하지 않는 생각, 충동, 장면이 반복적으로 떠오르는 게 '강박사고'이며,  특정 규칙에 따라 일어나는 반복적인 행동이 '강박행동'이다.


강박사고나 강박행동은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소모하게 하고 학업, 직업 등 여러 영역에서 심각한 장애를 유발한다.


예를 들어 집에 가스 불이 켜져 있어 화재가 날 것이라는 생각이 반복적으로 떠오르는 게 강박사고다.


이에 따른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지속해서 가스 불이 꺼져 있는지 확인하는 게 강박행동이다. 강박행동은 일시적으로는 심리적 안정을 주지만 궁극적으로는 불안을 해소하지는 못한다.


강박장애 환자 가장 많은 연령층 '20대' 


강박장애의 대표적 증상으로는 손에 세균이 있다는 불안 때문에 수십 번씩 손을 씻는 것과 같은 ‘청결강박’과 문 이 잘 닫혔는지, 가스 불이 잘 꺼졌는지 등을 자꾸 확인하는 ‘확인강박’이 있다. 


‘대칭·정렬 강박’은 물건이 바르게 배열돼 있는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경우를 말한다. 또 필요 없는 물건을 계속 모으는 ‘수집강박’이나 불편한 생각을 반복적으로 하는 증상도 있다.


2021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강박장애로 치료받은 환자 중 20대가 28.3%로 가장 많았다. 


강박장애 환자 중 20대가 많은 이유는 10대 후반이나 20대 초반에 발병했을 때 치료를 받지 않아 악화하다가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심해져서 20~30대에 병원을 찾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 20대는 막 청소년기에서 벗어나 성인에게 주어진 역할들을 수행하는 시기이므로 미래에 대한 불안감, 학업, 직장 생활에서의 어려움 등이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것도 영향을 미친다. 


강박장애는 많은 사람에게 생소할 수도 있지만 평생 유병률이 2~3% 정도로 비교적 흔한 질환이며, 소아청소년기에는 남자가 여자보다 흔하고 성인기에는 여자가 남자보다 흔한 경향을 보인다.


꼼꼼함과 달리 일상생활에 장애를 초래


강박장애는 전문의의 진찰 후 임상적 기준에 따라 진단이 내려진다. 진단 기준으로는 DSM(Diagnostic and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매뉴얼)-5라고 하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이 있다.


강박장애로 진단되기 위해서는 강박사고 또는 강박행동이 있어야 하며 무엇보다 그러한 증상이 시간을 소모하게 하거나, 사회적·직업적 영역에서 장애를 초래해야 한다. 


흔히 매사에 자기관리를 완벽하게 하는 사람을 두고 강박장애가 아니냐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한 꼼꼼함이 사회적·직업적으로 장애를 주지 않는다면 강박장애라고 보기는 어렵다.


강박장애의 생물학적인 원인과 심리적인 원인에 따라 발생한다. 생물학적 원인으로는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세로토닌 시스템의 이상과 뇌의 전두-선조 신경회로의 기능적 이상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강박 증상이 악화하는 양상이 여러 연구에서 확인돼 심리적인 원인도 강박 증상에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방치하면 '만성화', 일상생활 악영향


현재 알려진 강박장애의 특별한 예방법은 없다. 다만 스트레스가 심하면 강박 증상이 악화할 수 있으므로 평소에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는 것이 좋다. 


치료로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가 도움이 된다. 대표적 약물인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는 우울증에도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강박장애 치료 시에는 우울증보다 고용량의 약물이 필요하다.


약물치료 시작하고 일반적으로 4~6주 후 효과가 나타나는데, 환자에 따라서는 최대 8~16주 후 효과를 보이기도 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약물이 존재하고 개인에 따라 약물 반응·부작용 발생에 차이가 있으므로 인내를 갖고 약물치료에 임하는 게 중요하다. 


인지행동치료에는 강박장애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생각들을 좀 더 현실적인 생각으로 바꿔보는 인지치료와 행동치료가 포함된다. 행동치료로는 ‘노출 및 반응방지’ 기법이 대표적이다.


강박장애를 가진 사람 입장에서는 병원에 가는 것이 꺼려지거나 과연 치료가 될지 의심할 수도 있겠지만 일단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면 증상이 호전돼 삶의 질이 좋아질 수 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