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정맥류는 하지에서 심장으로 혈액을 보내는 혈관인 하지정맥이 3mm 이상 구불구불하게 확장돼 혈액이 말초에서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는 데 문제가 생기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은 하지 무거움을 비롯해 피곤함, 붓기, 가려움, 쥐남, 욱신거림, 작열감 및 오래 서있을 때 발생하는 통증 등이다.
하지정맥류 원인은 정상적으로 말초까지 전달된 혈액이 정맥의 문제로 심장으로 돌아오는 데 문제를 겪는 '정맥부전'이다. 정맥부전 위험인자는 여성, 비만, 가족력, 고령, 임신, 장시간 서 있는 직업이나 생활 습관 등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2020년 하지정맥류로 진료받은 여성 환자가 14만5000여 명으로,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정맥류 치료를 가장 많이 받는 연령대는 50대였다.
다리 통증‧궤양‧색소 침착 시 류마티스 등 다른 질환 원인이 아닌지 감별 중요
하지정맥류로 의심되면, 진찰과 문진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주로 서있을 때 증상이 두드러지므로 진찰은 서있는 상태에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맥부전 원인 중 하나인 정맥 역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다. 초음파 검사는 역류가 발생하는 정확한 혈관 위치를 파악하고, 환자의 이전 치료 경험을 확인하며, 심부정맥 혈전증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검사는 일어선 상태에서 다리를 쥐어짜는 방식으로 역류를 유발하거나, 심호흡 후 입과 코를 막고 배에 힘을 주어 숨을 내뱉는 동작인 '발살바 수기'를 통해 역류를 확인한다.
피부 아래 위치한 얕은 정맥인 표재정맥 역류가 0.5초 이상 혹은 심부정맥 역류가 1초 이상 지속될 경우, 정맥 역류가 유의미하다고 판단한다.
이때 다리에 통증, 궤양, 색소 침착 등 소견이 있다면 류마티스 질환이나 동맥질환, 신경학적 문제 등에 의한 것은 아닌지 감별 진단이 중요하다.
초음파에서 표재정맥 역류가 확인되고, 하지불편감 등의 증상이 심하고 하지정맥류 및 색소 침착, 또는 궤양 등의 소견이 있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권고된다.
역류가 있는 복재정맥을 제거하는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는 고주파 절제술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이 외에도 접착제를 혈관 내 주입해 복재정맥을 폐쇄하는 시술이나 복재정맥을 제거하는 복재정맥 발거술 등이 있다.
역류가 있는 복재정맥을 제거해 정맥 부전을 해결하는 치료와, 구불구불한 하지정맥류를 작은 절개로 제거하거나 경화요법으로 혈관을 굳게 하는 치료가 함께 이뤄진다.
증상 심하지 않다면 압박스타킹 착용 등 비수술적 관리도 가능
하지정맥류를 치료에 반드시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거나 일상생활에 큰 불편이 없다면 비수술적 방법으로도 관리가 가능하다.
하지정맥류 비수술 치료는 생활 습관 개선 및 약물 치료, 압박 요법 등이 있다.
장시간 서있거나 앉아 있는 자세를 피하고, 압박스타킹을 착용해 정맥 순환을 개선하면 증상 호전에 도움이 된다.
스타킹의 길이가 증상 개선에 미치는 효과는 크지 않으므로, 무릎 아래 길이의 스타킹이 착용 용이성과 피부 과민반응이 적어 권장된다. 순환 개선 약제 복용도 증상 개선과 부기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접착제 폐색술 등 일부 시술 후에는 압박 치료가 불필요 할 수 있으나, 대부분 수술 후에는 일정 기간 압박스타킹 착용이 권장된다.
수술 종류에 따라 착용 여부와 기간이 달라진다. 압박스타킹은 수면 시를 제외하면 걷고 생활하는 동안은 지속적으로 착용하는 것이 권고되며, 6개월마다 교체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