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 양상을 보이면서 서울형 재택치료 모델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방역당국 전망대로 오미크론 확진자 수가 몇 만 명대로 늘어날 경우 일선 의료기관에서 수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서울시의사회와 함께 재택치료 모델을 본격적으로 운영할 방침인데, 내달에는 서울시 25개 자치구 전체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의원급 의료기관은 ‘24시간 당직모델’에 부담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서울시·서울시의사회에 따르면 이날 11시 구로구의사회로 환자 1명이 배정되고, 오늘(21일)부터 본격적인 재택치료에 들어간다.
구로구 외에 서초구, 중랑구, 노원구, 동대문구 등이 시범운영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환자 배정을 받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가는 것은 오는 24일 혹은 25일이나 돼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중 서초구는 좀 더 시간일 걸릴 전망이다. 정부 지침 중 ‘모니터링 대응을 위해서는 의원 내 상주해야 한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 같은 내용이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다. 서초구에는 여의사 3명이 포함돼 있어 지침 개정 혹은 인원 교체 등이 필요한 상황이다.
더욱이 ‘24시간 당직모델’도 의원급 의료기관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해당 모델은 개별 의원들이 오전 8시~오후 10시까지 재택환자의 건강 모니터링과 비대면 진료를 담당하는 것인데, 개원가로서는 여간 부담스런 일이 아니다.
해당 모델에는 의사가 7~8명 투입된다. 이들은 일주일 혹은 열흘에 한번 꼴로 사실상 당직을 서게 되는 상황이다. 앞서 코로나19 전담병원 혹은 재택치료에서 심야 응급콜이 ‘1%정도 발생하는데, 이를 위해 서울형 재택치료에 참여한 의원급에 희생을 강요하는 것은 소모적이라는 것이다.
박명하 서울시의사회장은 “의원급은 10명 내외 환자를 보게 되고, 10명까지 배정을 받기 위해서는 시간도 걸린다”며 “예를 들어 20명 중 0.2명의 콜이 울린다고 가정했을 때 5일에 한 번 콜이 올까 말까인데 이를 위해 밤새도록 있어야 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
이어 “오후 10시까지 대응하기 위해 의원에 있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의원급 참여를 오히려 막는 거 아닌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박 회장은 의사 서울형 재택치료에 참여한 의사들의 유사 시 ‘책임 소재’ 관련 문제제기와 관련해서도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은 비상 상황이다. 의료진이 최선을 다하다가 벌어진 상황에 대해서는 정부가 면책을 해주겠다고 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