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병원·해운대백병원·을지대병원 등 '무(無)'
6개 권역 13곳 의료기관 신생아집중치료실 운영 위태···전공의 '128명→62명' 반토막
2023.10.14 07:08 댓글쓰기

젊은의사들의 소아청소년과 기피 현상이 심화되면서 신생아 중환자실 전공의도 줄어들고 있다. 


정부가 지원 중인 신생아집중치료실 운영병원 50곳에서 2018년 128명이었던 신생아 중환자실 전공의가 2022년 62명으로 줄어 사실상 반토막이 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주 의원(국회부의장)이 최근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5병상 이상 신생아집중치료실 운영 현황' 자료에 이 같이 나타났다. 


자료에 따르면 2022년 12월 말 기준, 전국 6개 권역 13개 의료기관 신생아집중치료실에는 전공의가 단 한명도 없었다. 


▲전북(전주예수병원) ▲부산·울산·경남(울산대병원, 성균관대삼성창원병원, 인제대해운대백병원, 좋은문화병원,고신대복음병원, 일신기독병원, 창원경상대병원) ▲대전·충남·세종(을지대병원) ▲대구·경북(계명대동산병원) ▲광주·전남(현대여성아동병원) ▲경기(차의과대분당차병원, 한림대동탄성심병원) 등이다. 


서울을 제외한 전국 시도에서 운영 중인 5병상 이상 신생아집중치료실 운영 병원은 50곳이다.


지자체별로 살펴보면 심각성이 더욱 확실하게 나타났는데, 전공의 1명당 평군 18.9개의 병상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생아집중치료실 전담 전문의의 경우 1명당 8개 병상을 담당하는 것과 비교했을 때 두 배 이상의 차이가 난다.


상세히 살펴보면, 부산·울산·경남 권역의 전공의의 경우 1명 당 35.6병상을 담당하고 있었고 그 뒤를 이어 전남·광주(23.8), 대구·경북(23.7), 강원(20) 등의 순서로 담당 병상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주 의원은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들의 장애 발생을 예방하고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는 적절한 치료와 의료적 지원이 필수”라며 “행여나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아이를 치료할 병상이나 전공의가 부족해 신생아 치료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는 않을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당장은 신생아집중치료실 병상이 부족한 4개 지역에 대해서는 인프라를 지원하고, 전공의들의 수련환경과 인건비 등 처우 개선을 강화해야 한다”며 “큰 틀에서는 필수의료 과목 전공의 지원 기피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3
답변 글쓰기
0 / 2000
  • 언제는 대책있었나? 10.16 09:11
    원래 정부는 무대책이 대책이요.  나라로부터 녹을 먹는 정부관계자들에게 전화해보면, 법을 들먹이면서 "결국 나는 책임이 없다. 그리고 딱히 대책도 없다. 기다려라." 라는 식의 답변만을 내놓는다. 법의 제정취지를 무색케하며, 오히려 지네의 법적 보호를 위한 무사안일이 판치는데, 당연한 귀결아니겠는가?

    그나마 의사들이 착해서 양심과 책임의식으로 버텨온거다. 근데, 물에 빠진 사람 구해줬더니 보따리내놓으라는 식으로 의사들에게 배상케 한다면, 어느 누가 사람 구하겠는가?
  • 허당 10.14 11:11
    벌써 언제적부터 문제가 있었는데 이제사 문제가 있는거처럼 알려지니 늦었지
  • 한심 10.14 09:09
    이리 난리 치면서 결국 정부가 한 것이 뭐지?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