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심혈 '외과계 교육상담 시범사업' 먹구름
3000곳 중 참여 절반도 안돼···안과 포함 '4개 진료과' 추가 재모집
2018.09.15 05:45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백성주 기자] 외과계 6개 전문과목 의원급 의료기관 대상으로 진행된 ‘수술 전후 교육상담 등 시범사업’이 내주 초 재공고 된다.
 

예상보다 저조한 참여 때문이다. 보건복지부는 사업 대상에 4개 전문과목을 추가하고, 질환도 늘려 보다 많은 기관의 시범사업 수행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14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6일 마감된 ‘수술 전후 교육상담 시범사업’에 총 1349개 의원급 의료기관이 신청서를 제출했다.


당초 시범사업 대상기관 3000곳에 절반도 미치는 못한 수치다. 따라서 복지부는 추가 모집을 결정, 빠르면 17일 재공고키로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1000곳 이상이면 시범사업에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더 많은 의원들이 참여하면 심층진찰 표본 다양화, 일차의료 활성화 기여도 확인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2차 공고에서 복지부는 시범사업 대상 진료과와 확대와 함께 교육상담 질환의 신설도 검토 중이다.


당초 외과, 비뇨의학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신경외과, 산부인과 등 6개 진료과를 대상으로 사업진행을 계획했다. 여기에 안과, 이비인후과, 성형외과, 마취통증의학과 등 4개 진료과를 추가하게 된다.


현재 교육상담 대상 질환은 항문양성질환(외과), 요로결석증(비뇨의학과), 전립선비대증(비뇨의학과), 어깨회전근개파열(정형외과), 무릎인공관절(정형외과), 하지정맥류(외과, 흉부외과), 척추협착(신경외과), 자궁내막선증식증(산부인과), 자궁의 평활근종(산부인과) 등 9개 질환이다.


복지부는 4개 진료과 전문의들이 활동하고 있는 관련 학회에 교육상담 시범사업 대상이 될 수 있는 질환에 대한 정보를 요청했다.


참여 저조 이유에 대해 복지부는 외과계 의료기관의 시범사업에 대해 인지하지 못한 부분과, 교육상담 및 심층진찰에 적용된 수가가 충분치 못한 측면도 있다고 판단했다.


일부 개원의들은 심층진료를 오해하거나, 해당 사항이 없을 것이라고 섣불리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따라서 의사회에 관련 홍보를 요청해둔 상황이다.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기관은 교육상담이 가능한 영역에 대해 교육상담료 시범수가 △초회 2만4000원 △재회 1만6400원이 신설, 적용된다. 심층진찰료 시범수가는 △2만4000원을 산정할 수 있도록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시범수가가 의원 경영에 크게 도움이 될 만한 정도는 아니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 같다”면서 “본사업이 시행되면 수가를 올리는 방안 등도 검토될 것”이라고 전했다.


우선 10월부터 심층진찰을 시작으로 해당 외과계 시범사업은 실시된다. 신청 기관은 모두 시범사업에 포함시키고 2차 공고에 신청서를 낸 곳들도 빠르게 참여시킨다는 계획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심층진찰은 예고된 대로 10월 1일부터 바로 시행되고 교육상담은 교육 프로토콜 등 해당 의사회 교육 일정에 따라 시기가 조정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