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수 서울대병원장, ‘원격의료’ 또 소신 발언
'코로나19 통해 필요성·가능성 확인됐고 상급종합병원이 플랫폼 제안'
2020.05.14 06:0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서울대학교병원 김연수 병원장이 다시금 원격의료도입 필요성을 설파했다. 포스트 코로나 대비책으로 비대면 진료를 전격 수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지난해 연말에 이어 코로나19 사태에서도 원격의료라는 민감한 주제를 건드리는 소신 발언으로 의료계 뇌관을 통타하고 나선 모습이다.
 
김연수 병원장은 13코로나 사태 이후 세상이 어떻게 바뀔 것인가를 주제로 열린 유뷰트 웹세미나에서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코로나19로 수 백 명이 목숨을 잃어 가슴 아프지만 메르스에도 그랬듯 이를 교훈삼아 더 나은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면 큰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김 병원장은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맞으며 시도한 작지만 큰 변화에 주목했다.

감염 우려로 병원 방문이 부담스러운 환자를 위해 정부가 한시적으로 허용한 전화진료였다.
 
김연수 병원장은 최근 7주 동안 104000건의 전화상담이 있었다이는 전국 3072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이른 바 원격의료라고 말했다.
 
이어 환자들은 본인이 희망할 경우 전화를 통해 문진을 받고 기존에 검사한 결과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병원은 환자 거주지 인근 약국으로 처방전을 발송했다고 덧붙였다.
 
경증 및 무증상 코로나19 감염환자들이 머물렀던 생활치료센터에서도 원격의료가 시행됐다. 고무적인 성과를 이뤄냈다고 평했다.
 
그는 생활치료센터에서는 화상전화와 앱을 통해 상담과 진료를 했다이를 통해 의료시스템 붕괴가 일어나지 않고 환자는 큰 어려움 없이 진료를 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앞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규제에 발목을 잡혀 원격의료를 시행하지 못하고 있는 국내 현실에 대해 안타까움을 전했다.
 
김연수 병원장은 미국, 일본은 물론 중국, 동남아까지 원격의료를 시행하고 있다최근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구글 등도 신성장 동력으로 확대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 의료 수준과 정보통신기술은 이미 최고 수준에 도달해 있음에도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명시적으로 규제에 묶여 있다고 덧붙였다.
 
한류로 일컬어지는 문화계가 그랬듯 모처럼 우리의 역량을 크게 떨칠 수 있는 분야임에도 불필요한 우려로 답보 상태에 놓인 현실을 개탄했다.
 
그는 이번 경험을 발판 삼아 온라인으로 대면하는 의료를 도입해 볼 시기라며 안전하게 ICT 의료시스템을 정비하고 보험수가와 진료과목도 심의 속도를 내야한다고 피력했다.
 
특히 상급종합병원이 원격의료를 위한 플랫폼을 만들고, 이를 전국 의료기관이 함께 사용하는 구조를 제안했다.
 
대한의사협회를 비롯한 개원가에서 상급종합병원의 원격의료 시행에 극도로 민감해 하는 점을 모를리 없지만 과감하게 상급종합병원 주도의 원격의료를 언급했다.
 
김 병원장은 “1·2차 의료기관이 상급종합병원의 중증, 희귀난치질환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다효율적 의료자원 배분은 결국 국민들에게 이익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의료인력 증원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 다른 감염병이 닥쳐왔을 때 덕분에라는 응원만으로 의료진의 희생을 강요하는 구조가 아닌 의료진의 헌신이 담보될 수 있는 시스템이 준비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연수 병원장은 “2030년에는 7600명의 의사가 부족할 것이라는 연구결과도 있지만 의과대학 정원은 2007년 이후 12년 째 3058명으로 동결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10년을 양성해야 의료현장에 배출될 수 있는 의사 양성의 특성을 고려하면 2030년에는 전문의료인력 부족으로 의료체계 혼란이 극에 달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이제는 의사, 간호사 적정인원에 대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지금의 위기를 전화위복 기회로 삼아 또 한 번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댓글 1
답변 글쓰기
0 / 2000
  • 공공의대 05.14 13:37
    서울대가 먼저 솔선수범하여 공공의대로 전환해라.  등록금부터 다 무료다.  이것부터 하고 다른걸 주장하는게 어떨가 싶다.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