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교육 장벽···'적정 보상체계 전무'
학회·개원가 '상담료 신설 등 제도 개선 시급' 한목소리
2018.05.09 11:52 댓글쓰기

국내 질병 부담 1위로 손꼽히는 당뇨병이 표준화된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상담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없어 환자들의 자가관리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인지율과 치료율은 다른 만성질환에 비해 높은 편이지만 당뇨병 환자 10명 중 7~8명은 관리에 실패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8일 열린 당뇨병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정책토론회에서는 ‘당뇨병 교육 체계 구축을 위한 전문협의체의 필요성’에 공감대가 형성됐다. 


대한내분비학회 김종화 보험이사는 “당뇨병 치료의 궁극적 목표는 지속적인 자기관리와 약물요법을 통해 혈당조절 상태를 향상시켜 목표 혈당에 도달하고 유지해 당뇨병 합병증을 예방 하는 것”이라고 중요성을 환기시켰다.


사실 해외에서는 당뇨병 진단부터 교육상담을 체계적으로 시행, 환자에게 질병을 관리할 수 있는 역량과 동기를 강화시켜 주고 있다.
 

물론 국내에서도 대한당뇨병학회를 주축으로 제대로 된 당뇨병 교육자 양성을 위해 노력했지만 아직도 상당수 환자가 제대로 된 당뇨병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김종화 이사는 “효과적인 당뇨병 관리를 위해서는 적절한 약물투여와 함께 식이, 운동, 스트레스 등 철저한 자기관리가 필요하다”며 “특히 당뇨병 교육은 관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실제 혈당조절을 의미하는 당화혈색소 임상적 지표의 개선, 만성 합병증 발생률의 감소, 환자 만족도 증가 등 다양한 영역에서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여러 연구를 입증되고 있다.

현재 당뇨병 교육은 의사, 간호사, 영양사가 기본적으로 교육 팀을 이루고 기관에 따라 사회복지사, 운동 처방사, 약사, 심리치료사 등이 교육 팀의 일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복지부 고시에 따르면 당뇨병 교육자는 해당 요양기관 임상과 또는 관련학회 등 자문을 받은 자료를 이용, 당뇨병의 치료 및 합병증 예방, 당뇨병 자가관리 등 포괄적인 내용을 교육해야 한다.


김종화 이사는 "당뇨병 교육자인 의사는 오케스트라 지휘자처럼 임상적, 교육적, 심리학적 접근 등 포괄적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며 "임상적 결과가 향상되도록 교육자, 상담가, 코디네이터 역할도 중재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뇨병 환자 급증, 교육상담 체계는 속도 못 따라가

당뇨병 교육에 대한 아쉬움은 개원가에서도 묻어난다. 향후 일차의료기관중심의 당뇨교육 상담 체계 구축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이유다. 다만, 수가체계 마련이 관건이다.


대한개원내과의사회 조성균 보험이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당뇨병 환자에 비해 교육상담 체계는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당뇨병 교육상담은 그 중요성이 인식됨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제도가 부족하고 일관성 있으며 표준화된 교육을 시행할 자료 역시 부족하다고 한 목소리를 낸다.


일선 의료현장에서 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독려하기 위한 적절한 보상체계가 일부 시범사업 등에서만 한정된 지역의 환자에 한해 이뤄지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조성균 이사는 "당뇨병 교육상담 주체는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여야 한다"며 "교육상담은 적절한 치료와 함께 이뤄져야 합병증 발생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교육상담 체계로의 접근도 수월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그는 "당뇨병 환자 교육상담이 현재처럼 일부 시범사업 지역과 종합병원 위주의 비급여 교육으로 이뤄진다면 적절한 접근이 불가능하다"며 "지리적 접근성도 중요하지만 금전적으로도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무엇보다 피교육자인 환자가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조서균 이사는 "교육 시행 이전부터 환자가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도록 적절한 인센티브 제공 및 교육 상담료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