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미글로·슈가논·듀비에 패밀리 이어 케이캡 '질주'
올 3분기 국산신약, 만성질환 분야 처방 실적 호조···슈펙트 '하락' 추세
2020.11.20 05:1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코로나19 악재에도 불구하고 올해 3분기 국산 신약들이 저력을 과시했다.

특히 당뇨, 고혈압 등과 같은 만성질환과 함께 위장약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19일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금년 3분기 국내 제약사들이 개발한 신약들이 고루 성장세를 보였다.
 

우선 LG화학의 제미글로 패밀리가 가장 많은 처방액을 기록했다. 제미글로 패밀리의 원외처방액은 총 306억원으로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0.47% 늘어난 수치다.


단일제 제미글로는 3분기 92억원, 복합제 제미메트는 213억원, 제미로우는 1억원의 처방액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6.98%, 27.38%, 11.52% 늘었다.


제미글로 패밀리와 같은 DPP-4 억제제 계열 당뇨약인 동아에스티의 '슈가논 패밀리'와 종근당 '듀비에 패밀리도' 역시 3분기 약진했다.


동아에스티의 단일제 당뇨약 '슈가논'은 28억원, 복합제 '슈가메트'는 39억원 처방됐고, 이는 작년 3분기보다 각각 47.37%, 62.5% 성장했다.
 
종근당의 단일제 '듀비에' 역시 지난해 3분기 38억원에서 26.3% 오른 48억원, 복합제 '듀비메트'도 50억원에서 55억원으로 10% 늘었다.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 품목은 HK이노엔의 P-CAB 계열 위장약 '케이캡'이다. 케이캡은 3분기에만 전년 동기 대비 164.1% 증가한 200억원 처방됐다.


보령제약 고혈압치료제 '카나브 패밀리'도 국산 신약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카나브 패밀리의 원외처방액은 3분기 270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5% 늘었다.


카나브 패밀리는 '듀카브’와 ‘투베로’, ‘라코르’, ‘듀카로’, ‘아카브’ 등 6종이며, 이중 단일제 '카나브' 처방액은 3분기 전년 동기 대비 6.2% 늘어난 126억원, 복합제 '듀카브' 25% 상승한 90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대원제약 골관절염 진통제인 '펠루비정'도 선전했다. 펠루비는 지난해 3분기 75억원에서 올해 3분기 77억원으로, 2.67% 처방이 증가했다.


크리스탈지노믹스의 골관절염치료제 '아셀렉스'는 3분기 16억원 처방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29% 처방이 확대됐다.


두 개의 국산 신약을 보유한 일양약품의 경우 PPI 계열 위장약 '놀텍'은 3분기 90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 79억원보다 13.92% 처방이 많아졌다.


반면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 가능성을 보였던 백혈병치료제 '슈펙트'는 올해 3분기 3억6000만원정도 처방되면서 전년 동기 4억5000만원보다 20% 감소했다.


부광약품 항바이러스제 '레보비르'는 3분기 3억원 처방됐고 2019년 3분기보다 12% 정도 성장했다.


일동제약의 B형간염 치료제 '베시보'는 3분기 4억원의 실적을 올렸고, 이는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41% 정도 증가한 수치다.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당뇨나 고혈압 등 만성질환자들이 꾸준히 복용해야 하는 품목들이 성장하고 있다"며 "이와 함께 제품력과 라니티딘 퇴출의 반사효과를 누리고 있는 P-CAB 계열 위장약 '케이캡' 성장세가 주목된다"고 분석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