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 면역항암제 접근성 확대 필요 vs 최종 키 제약사
환자·의사들, '비급여' 어려움 제기···복지부, 건보재정과 연계해 결정
2019.12.20 06:25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임수민 기자] 의료계에서 면역항암제의 비싼 가격을 지적하면서도 환자 접근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보험급여 확대 등을 통해 국가가 면역항암제에 대한 환자의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정부는 모든 키를 갖고 있는 것처럼 비춰지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최종 책임은 제약사에 있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19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면역항암제 보장성 강화 어디까지, 환자의 효율적 치료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패널토론이 진행됐다.
 

백진영 한국신장암환우회 대표는 "표적치료 등장으로 신장암 치료 환경이 획기적으로 발전했지만 부작용과 내성으로 인한 한계가 컸다"며 "내성 때문에 1년 전후로 약제를 바꿔야했던 표적치료와 달리 면역항암제는 단시간 내 치료가 가능하며 부작용도 적어 효과가 좋다"고 말했다.
 

이어 "표적치료는 부작용이 심해 환자 생존기간이 길어져도 삶의 질이 크게 하락됐는데, 면역항암제는 이런 측면이 개선돼 치료 후 환자들이 직장에 다니는 등 다시 사회로 복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백진영 대표는 면역항암제 치료를 받고 있거나 고민하는 환자들이 겪는 실질적 어려움을 '비급여'라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와 제약사가 면역항암제에 대한 급여를 고민하는 동안 그 부담은 오롯이 환자에게 이전되고 있다"며 "의료진은 금액 등 환자의 다양한 여건을 고려해 면역항암제를 소개해주지 않기도 하며 환자들은 자신도 모른 채 치료 기회를 박탈당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환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항암제 폭이 좁기 때문에 다양한 선택이 가능토록 해야 한다"며 "면역항암제 효과는 우수하고 입증됐으나 선택의 폭이 좁고 접근성이 낮기 때문에 급여 기준을 높이고 다양한 항암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희준 중앙대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약을 선택할 때 첫 번째 기준은 이 환자가 얼마나 살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다"며 "면역항암제 옵디보가 신장암에 있어 환자들의 생존기간을 뚜렷하게 연장시켜 가치가 높다"고 전했다.
 

이어 "하지만 의사로서 환자에게 보험 얘기를 안 할 수 없는데 그래프를 이용해 약효를 설명해도 대부분의 환자는 가격만 생각하며 진료실 문을 나선다"며 "실제로 같은 병실에 있는 환자인데 한 환자는 사보험으로 면역항암제 치료를 받고 다른 환자는 가격 때문에 받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고 지적했다.
 

김희준 교수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조건에 맞는 환자들이 약을 한 번은 시험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면역항암제를 이용한 치료 성공을 보장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임상연구에 발표되는 조건에 맞는 환자들은 한 번은 투약으로 치료해봐야 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며 "이런 제도가 롱런으로 운영되기 위해 사회나 정책적으로 재정을 늘려가야 한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이대호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환자의 면역항암제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해결해야 하는 것은 결국 돈 문제다. 정부나 국민들은 암환자를 위해 얼마나 재정을 더 부담할 수 있는지 먼저 생각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대호 교수는 "안정적인 환자의 면역항암제 접근 보장을 위해 정부는 일관성 있는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며 "중증질환에 대한 지원을 계획하다 갑자기 MRI 지원을 확대하면 결국 재정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한 가지 사업을 정해 집중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약사는 신약에 대해서 접근성을 보장해달라, 급여 보장해달라 주장하면서 기존 약제 값을 깎을 마음은 없다. 이런 태도는 환자를 위한다고 말할 수 없기 때문에 이미 허가가 끝난 약에 대해선 가격 인하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최경호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 사무관은 "면역항암제가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큰 효과를 보이는 약인 것은 보건복지부도 인지하고 있다"며 "급여 적용이 되려면 반응률 등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어 심평원과 공단 측에서 연구를 진행 중이다"라고 전했다.
 

하지만 최경호 사무관은 모든 책임이 정부로 귀결되는 상황에 대해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그는 "정부가 모든 키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정부와 보건복지부, 심평원이 상의 후 타당하게 지출될 수 있는 건보 재정을 결정한다"며 "제약사가 신약 재정 영향도, 환자보호조치 방안 등을 적절하게 설계해 급여신청을 하면 협상을 통해 최종고시가 이뤄진다"고 말했다.


이어 "마지막 키를 쥐고 있는 주체는 제약사인데 정부가 요구하는 신약 반응률을 비롯해 재정독소, 데이터 등과 관련해서 일언반구 없는 제약사들도 있다"고 덧붙였다.

최경호 사무관은 또 "보건복지부가 환자의 면역항암제 접근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기존에 효과가 없는 약제 등의 재평가를 진행해 항암제나 희귀질환에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 계정을 만들려고 한다"며 "상대적으로 한 켠에 치우쳐진 소수암환자들을 위해 사전약가인하제 같은 현실적으로 빠르게 적용 가능한 방안 등을 고민해 환자들이 신약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