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정보 유튜브 의료영상이 오히려 인기 좋다"
유튜브 "의료인 채널에 인증 라벨 부여하고 우선 추천 등 신뢰성 확보 모색"
2024.02.08 15:02 댓글쓰기



유튜브를 통해 의료정보를 얻는 일이 일반화되면서 검증되지 않은 영상에 대한 우려도 깊어지고 있다.


최근 한 분석에 따르면, 잘못된 의료정보를 담은 영상일수록 인기가 높은 아이러니한 상황도 연출되고 있다.


이에 유튜브는 의사, 간호사 등 전문가들이 만든 영상에 ‘인증 라벨’을 부여하고 우선 추천하는 등 신뢰성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튀르키예 라호르보건과학대와 카자흐스탄 남카자흐스탄의대 공동연구팀은 공중보건윤리(PHE)와 관련된 유튜브 영상 137개를 분석한 결과, 의료정보 질이 낮은 21개 영상이 다른 질 높은 영상들보다도 조회수 등 데이터가 가장 우수했다는 연구결과를 ‘대한의학회지’ 최근호에 발표했다.


공중보건윤리는 공중보건을 유지 및 강화하는 데 따른 윤리적 사안들을 일컫는다. 가령 코로나19 유행 상황에서 백신을 어느 지역 또는 계층에 우선 분배할 것인지, 또 백신을 의무화하는 것이 정당한지 등을 다룬다.


연구팀은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 규제 부족으로 공중보건윤리에 관한 부정확하거나 오해 소지가 있는 정보들이 확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연구팀은 영어로 제작된 유튜브 영상 중 ‘공중보건’, ‘의료관리’, ‘의료서비스행정’, ‘보건정책 및 윤리’로 검색되는 영상 137개를 엄선해 신뢰도와 유용성을 평가하는 척도(GQS)로 분석했다.


그 결과, 137개 영상 중 절반에 가까운 65(47.5%)개가 일관성과 유용성이 높은 고품질 영상으로 분류됐다. 반대로 21개(15.3%)는 일관성이 떨어지고 시청자들에 유익하지도 않은 저품질 영상으로 평가됐다.


고품질 영상은 대학병원, 전문의, 정부, 학계 등 대부분 전문가들이 제작한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저품질 영상은 일반인이 제작했거나 뉴스인 경우가 상당수였다.


그러나 시청자들의 반응은 질 낮은 영상에서 가장 뜨거웠다. 


저품질 영상의 일별 조회수 중간값은 605회로 고품질 영상(25회)보다 24배 높았으며, ‘좋아요’의 수도 저품질 영상이 137배 많았다. 댓글 수 역시 고품질의 영상은 ‘0’에 수렴할 정도로 적었다.


연구팀은 “일반인이 제작한 영상은 사실이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확산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며 “이런 정보들은 선정적이거나 오해를 불러일으켜 시청자들의 반응이 더 큰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절반 가까운 영상이 고품질로 나타난 점은 긍정적이지만, 질 낮은 영상들이 부정확하고 편향된 정보를 전파하면서 공중보건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검증된 의사 채널에 인증 라벨 부여해서 올바른 의료정보 확산


이처럼 잘못된 의료정보에 대한 지적이 이어지자 유튜브 측은 의사, 간호사 등 전문가들이 만든 영상에 인증 라벨을 부여하고 우선 추천하는 기능을 적용키로 했다.


ICT업계에 따르면 유튜브는 지난달 30일부터 의료전문가가 운영하는 채널을 대상으로 ‘유튜브 헬스 기능’ 적용 신청을 받고 있다.


이 기능이 적용되면 ‘대한민국의 면허를 소지한 의사’ 등 공신력 있는 출처의 동영상임을 확인할 수 있는 라벨(보건정보 출처에 대한 정보 패널)이 표시된다. 


또 시청자들이 건강 관련 주제를 검색했을 때 먼저 추천되는 ‘보건 콘텐츠 섹션’에도 들어간다.


유튜브 헬스 기능을 신청하려면 적법한 면허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의학전문학회협의회(CMSS)와 미국의학한림원(NAM),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건강정보 공유 표준도 따라야 한다. 


유튜브는 심사를 거쳐 자격 요건이 충족된 채널에는 수개월 내 인증 라벨을 적용할 예정이다.



인증라벨(보건 정보 출처에 대한 정보 패널)이 부여된 유튜브 채널( 왼쪽)과 보건 콘텐츠 섹션. 사진 연합뉴스


유튜브는 이에 앞서 2023년 1월말부터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서울성모병원 등 대형 국내 의료기관에 ‘출처 대한민국 공인 의료 서비스 제공자’라는 인증 라벨을 부여하고 이들 채널의 영상을 우선 추천하고 있다.


유튜브 측은 “교육기관, 공중보건 부서, 병원, 정부기관 등 조직에서만 사용할 수 있던 기능이 개별 의료전문가까지 확대 적용돼 더욱 다양한 의료 관련 채널에서 제공하는 고품질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