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인력 부족 해법은 '간호조무사''
2006.10.08 21:55 댓글쓰기
병상 100개를 갖춘 서울 A병원. 야간 근무를 포함한 간호사 임금은 월 120만∼150만원이다. 경영난으로 임금 인상을 해 줄 수 없게 되자 ‘간호사 구하기가 하늘에 별따기’라는 말이 현실로 다가와 버렸다.

“간호사 정원의 일부를 간호조무사 인력으로 대체해야 한다”는 요구가 다시금 거세지고 있다.

8일 한국간호조무사협회 임정희 회장[사진]은 “간호사 수 대비 적정수의 간호조무사 수를 산정해 일부 의료기관에서 인정하도록 제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간호조무사협회는 이를 골자로 최근 복지부에 청원을 낸 상태다.

그는 “지방 소재의 중소병원들은 간호사를 채용하고 싶어도 채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꼬집고 “간호사 정원의 일부를 간호조무사 인력으로 대체해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실제로 최근 대형병원을 선호하는 성향이 확산됨에 따라 중소병원들의 간호 인력난은 전쟁을 치르는 것과 마찬가지.

이는 결국 중소병원 의료서비스의 현저한 중증도 저하로 직결되고 있는 추세다.

임정희 간조협 회장은 “현재 복지부가 추진하고 있는 ‘간호사 확충을 위한 간호등급가산제도 개선 계획’ 내용에 간호조무사 인력도 인정하는 것으로 수정·보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주장에 대해 대한간호협회는 최근 열린 ‘간호조무사 인력 활용방안’ 정책토론회에서 “이미 일부 병원에서는 간호등급가산제 시행 이전부터 간호조무사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고 정면 반박한 바 있다.

김명애 이사는 “이 시점에서 간호조무사가 간호등급제에 산정되는 인력으로 들어간다면, 별도의 추가인력 투입없이 간호등급 가산금을 받게 된다”고 반대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임정희 회장은 “최근 간호조무사가 담당할 업무 분야에 무자격자를 채용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의료 사고의 위험도도 높아지고 있다는 것도 무시할 수 없는 현실” 이라고 맞받아쳤다.

인력 파견 전문 업체를 통해 서울 시내만하더라도 유수 대학 병원들이 무자격자에게 간호보조 업무를 맡기는 불법 행위가 자행되고 있는 실정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보호자 없는 병원 추진을 앞두고 현재 대한간호협회와 여성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간병인(사)’의 양성화 및 법제화에 추진 방향에 대해서도 이의를 제기했다.

병원 내에서의 간병도 간호행위의 범위에 속하므로 이는 반드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가 맡아야 하며 간병인은 가정에서 사적으로 활용하도록 해야 한다는 게 골자다.

하지만 임정희 회장은 “일본에서도 간병인(간호조수)을 병원에서 축출하는 정책을 시행해 왔다”며 “가용 유휴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를 최대한 병원으로 올 수 있도록 간호 인력 고용 극대화 정책으로 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