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진이 임신 전(前) 근력 강화 운동으로 임신성 당뇨병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분당차여성병원(원장 김영탁) 산부인과 류현미 교수[사진]팀은 "한국인 임신부 3457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실시한 결과, 임신 전 주 2회 이상 근력 운동을 한 여성의 임신성 당뇨병 발생 위험이 54%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임신성 당뇨병(GDM)은 전 세계 임신부의 약 14%가 경험하는 흔한 합병증으로 적절히 관리하지 않으면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단기·장기적인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과체중, 비만, 고령 임신, 당뇨병 가족력, 과거 병력, 다낭성 난소 증후군 등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꼽히지만 이들 대부분은 쉽게 변화시키기 어렵다. 반면, 신체활동은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조절 가능한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한국인 임신부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전향적 연구라는 점에서 임신성 당뇨병 예방을 위한 공중보건 전략 수립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류현미 교수는 "임신 중이나 산후보다 임신 전 근력 운동이 임신성 당뇨병 예방 효과가 크다"며 "임신을 계획할 때부터 규칙적인 근력 운동을 생활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을 포함 아시아 여성들은 임신 초기 활동량을 크게 줄이는 경향이 있는데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임신 중 신체활동은 산모와 태아 모두 건강에 중요하며 여러 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원활한 출산을 돕는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Diabetes & Metabolism Journal'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