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장학금 지원' 의대생 '됐어요 안가'
외상인력장학제 수혜 학생 2년연속 미달·공중보건장학제 유명무실
2016.10.21 17:48 댓글쓰기

응급의료 현장과 공공병원 인력난이 심화되고 있지만 의대생들의 지원을 유도하기 위해 마련된 장학금제도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발생한 전주 2세 소아환자 사망사건과 관련해서 권역외상센터들이 호소했던 것 중 하나는 외상전담인력 부족이었다. 센터에서 대기하는 전담팀에 의무적으로 요구되는 외상전문의를 현실적으로 모집할 수 없다는 것이다.
 

대한응급의학회 역시 “당시 병원에 소아외상전문의가 부족했던 것은 인정한다”며 “소아외상전문의는 오랜 경험과 수련이 필요해 인력 양성이 어렵다. 국내 소아외과 전문의는 30명 수준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사정이 이런 탓에 보건복지부는 지난 2014년부터 외상전문의 육성을 위해 국비장학생 제도를 도입했다. 의대생을 대상으로 연간 7000만원에 달하는 국비장학금을, 이들을 교육하는 병원에는 3600만원 상당의 교육비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제도 수혜를 받는 학생 모집은 2년째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첫해인 2015년 외상분야 국가 장학 수련의사 공모에는 11명이 신청했다. 당초 목표였던 12명을 채우지 못했고, 더욱이 올해 2016년 공모에는 겨우 4명이 신청서를 제출했다.

A 의과대학 학생은 “특별히 외상센터를 가지 않겠다는 개념은 아니다. 대부분 수도권 지역에서 수련받고 근무하는 것을 선호하는데 외상센터는 주로 지방에 있으니 선호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방 소재 B 의과대학 학생은 “서울에 수련병원이 있어 우리 학교를 지원했다는 선후배들이 많다. 교육받을 때도 만족도가 높아 다른 곳으로 가고 싶어 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비슷한 처지에 놓인 장학금제도는 또 있다. 공공의료에 종사할 인력 확보를 위해 마련한 공중보건장학제도다.
 

공중보건장학제는 의사 및 치과의사, 간호사를 지망하는 대학생들에게 정부가 장학금을 지급하고, 대신 졸업 후 일정 기간을 공공의료기관에서 근무토록 하는 제도다.
 

그러나 지원자가 없어 현재는 거의 유명무실한 상태다.
 

C의과대학 학생은 “장학금을 받는 대신 제도적 차원에서 의무조항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장학제도가 단순히 등록금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동기들의 선호도가 높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학생들은 보통 하던 대로 자교나 대형병원을 지원하는 것을 선호한다”며 “단순히 돈이 부족해서 장학제도를 택하는 학생들이 많을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국회 국정감사에서 공공의사 양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자 주무부처인 복지부는 공중보건장학제도 개선 검토에 착수했다.

복지부는 공중보건장학제 부활을 위해 2017년 예산에 1억원을 배정해 놓은 상태이며 현재 관련 연구용역 발주를 준비 중이다.

 
연구용역을 통해 기존 제도의 미비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장학생 선발 인원과 의료취약지 근무 연수 등 구체적 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복지부 공공의료과 관계자는 “국립보건의료대학 설립까지 적잖은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그 동안의 의료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장학제 부활을 적극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