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공약 '치매국가책임제' 성공 관건은
학회 '신경과전문의 확보 안되면 실패'···복지부 “충원 최대한 노력'
2017.11.11 06:10 댓글쓰기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치매국가책임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신경과 전문의의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신경과학회는 10일 서울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열린 추계학술대회에서 ‘신경과 정책포럼’을 개최하고 치매국가책임제에 대해 논의했다.
 

우선, 이화여대 의학전문대학원 신경과학교실 정지향 교수는 향후 늘어가는 노인인구에 대비해 신경과 전문의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정 교수는 “치매 이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환자 수가 현재 200만명으로 추정되며 2030년에는 두배나 늘어난 400만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들에게 전문적인 치료를 제공할 신경과 의사가 턱 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현 신경과 수급 현황으로는 치매안심센터에 치매전문의사를 배치, 조기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매년 80여 명의 신경과 전공의 충원으로는 2030년 120만명에 달할 것으로 보이는 치매환자를 돌볼 수 없다”며 “치매를 예방해야 하는 400만명의 노인인구에 적절한 진단을 내릴 수 없어 중증 치매환자의 확산을 야기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공립요양병원 중심 치매안심병원, 전문의 없는 곳 태반"
 

공립요양병원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치매안심병원 역시 전문인력 확보가 관건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전국 국공립요양병원 79곳 중 신경과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1명이라도 있는 곳은 30곳, 두 진료과 전문의가 모두 상주하는 곳은 3곳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한양대구리병원 최호진 신경과 교수는 “치매안심병원에 치매환자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전문 간호사, 치매전문 요양보호사 배치를 하게 한 것은 긍정적인 부분이다. 그러나, 이들 인력에 대한 유인책은 부족하다”며 “중소도시나 농어촌 지역의 국공립요양병원의 경우 필요한 인원을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추가 예산안 마련 계획이 빠른 시일 내 수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정부는 치매안심병원 등 치매국가책임제 인프라를 보강하고, 인력 충원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치매정책과 서일환 서기관은 “국립요양병원만으로는 치매안심병원을 운영할 수는 없다”며 “국립중앙의료원의 도움을 받아 어떤 지역에 얼마만큼의 치매 병상이 필요한지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요양병원 실무자와 이야기를 할 때 가장 많이 듣는 이야기가 ‘지방에서 채용이 어렵다'는 것이다. 병원별로 신경과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모두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내부적으로 인력 충원에 대해 협의하고 있으나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신경과와 정신과 전문의가 충원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