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학회 “뇌졸중 전문인력 부족” 고민 심화
'심뇌혈관질환 예방법 통과됐지만 인프라 부족'
2017.11.13 11:42 댓글쓰기

국내에 뇌졸중을 치료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부족해 신경과 전공의 수급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부는 지난해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대한 법률의 국회 통과로 이 질환에 대한 종합관리계획을 수립 중이다.
 

하지만, 여전히 뇌졸중에 대처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부족해 인력 수급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대한신경과학회 배희준 정책이사는 지난 10일 서울 그랜드힐튼호텔에서 개최된 추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배 정책이사는 “이번 종합관리계획 수립의 전제가 뇌졸중 진료를 담당하는 신경과 의사 확보인데, 최근의 현실은 걱정스럽다”며 “뇌졸중 치료는 응급 대응이 필요한데 이를 담당할 인력이 매우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대부분 병원에서 뇌졸중 전담 의사는 1명에서 2명인데, 뇌졸중 발생 건수는 2004년 10만건에서 2030년 35만건으로 늘어갈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배 정책이사는 “학생과 수련의들도 이런 이유로 신경과를 기피하고 있다. 2015년 93명의 전공의 정원에 89명이 지원해 정원은 채웠지만 이중 15%인 13명이 1년도 안돼 그만뒀다”며 “이들이 진료해야 했던 2015년 환자는 10만명이 넘었고, 2016년 11만명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대한뇌졸중학회 설문조사에 따르면, 신경과 뇌졸중 전담의 100명 중 79%는 앞으로 신경과의 환경이 악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 정책이사는 “우리사회가 뇌졸중 안전망을 갖췄다고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급성기 뇌졸중 진료 인력의 충원이 시급하며, 수련병원 차원에서 적절한 전문의와 전공의 확보가 선행돼야 한다”며 “이를 위한 정부 차원의 정확한 인력 추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치매국가책임제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서도 인력 수급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성혜 교육이사는 “치매안심병원에서는 이상행동 증상으로 고통 받는 치매환자들이 신경과나 정신과 전문의들로 전문적 치료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며 “그러나, 공립요양병원의 지리적 위치를 고려할 때 인력 수급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구체적 인력확보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 교육이사는 “많은 인력을 고용하고 치매환자를 위한 특수병동 설치와 유지에 들어가는 비용에 대해 국민건강보험 의료수가 등의 뒷받침이 현실화돼야 정상적 운영이 가능할 것”이라며 “추후에는 국가 기준을 만족하는 치매안심병동을 설치하는 병원에 대한 인센티브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치매가족을 위한 맞춤형 상담 및 교육수가도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이어졌다. 치매가족상담 및 교육수가는 제3차 치매종합계획에서 논의된 바 있다.
 

최 교육이사는 “치매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의사로부터 치매에 대한 체계적 교육을 받고 임상심리사로부터 상담요법을 받은 치매환자 보호자들은 교육과 상담을 받지 않은 보호자에 비해 우울감과 치매환자 부양부담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적었다”며 “치매환자 보호자가 환자 간병 부담을 극복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수가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