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국가책임제 뒷받침 '非약물 인지중재치료’
보편화 첫 걸음 학회 창립, '급여화 촉진 등 신의료기술 적용 노력'
2017.11.18 07:30 댓글쓰기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시절 공약인 ‘치매국가책임제’을 강조하면서 각 학회·간담회에서 다양한 정책 제안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치매·뇌질환 치료의 일환으로 ‘인지중재치료’가 대두되고 있다.


인지중재치료학회는 서울성모병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인지중재치료를 연구·발전시키기 위해 학회를 창립 한다”고 17일 밝혔다.


기존 학회·간담회 등에서는 치매국가책임제 관련 ‘정책 제안’이 대부분이었다.


정책 제안으로는 ▲중증 치매 보장성 강화방안 ▲장기요양보험 보장성 확대 ▲치매치료제 수가 ▲한의사 참여 ▲치매안심센터 운영 ▲신경과 전문 인력 확보 ▲일선 보건소의 역할 등이 있었다.


이런 가운데 인지중재치료학회 설립으로 치매·뇌질환 환자의 치료에 관한 논의가 구체화 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 것이다. 지난 7월 한국보건의료연구원(네카, NECA)이 인지중재치료를 ‘新의료 기술’로 인정하면서 인지중재치료학회의 역할은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인지중재치료란 치매·뇌 질환 환자의 인지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非약물적 활동을 뜻한다.


인지중재치료는 프로그램을 반복으로 시행해 뇌의 가소성을 유도하는 인지훈련, 회상요법·토론·미술치료 등을 통한 인지자극, 남은 인지기능을 활용해 일상생활의 기능장애를 줄여주는 인지재활로 이뤄져 있다.


인지중재치료학회 초대 이사장을 맡은 박건우 고려대안암병원 신경과 교수는 “최근 많은 치매환자나 그 가족들이 인지중재치료를 인지하기 시작했다”면서도 “의료기관 쪽에서 준비 안 된 곳이 많기 때문에 학회는 의료기관이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나아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인지중재치료학회 초대 회장인 김성윤 서울아산병원 정신과 교수는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인지중재치료가 의미가 있다”며 “이를 위해서는 일선 의사들의 환자에 대한 접근법이 중요하다”고 했다.


◇인지중재치료 급여화 잰걸음···심평원 심의 절차 남아


이날 간담회에서는 인지중재치료의 ‘급여화’에 대한 언급도 제기됐다. 현재 인지중재치료는 급여화 이전 단계이고, 몇몇 병원에서만 시범 실시 되고 있다.


인지중재치료는 네카에서 안전성을 인증했기 때문에 급여화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 정부의 치매국가책임제 의지가 강하기 때문에 일련의 상황들도 급여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다만, 본격적인 급여화를 위해서는 심평원 내에서 별도 심의절차를 거쳐야 한다. 인지중재치료학회는 인지중재치료의 급여화 과정에서 급여 기준 등 가이드라인 설정에 적극적인 목소리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치매학회 이재홍 이사장은 “인지중재치료가 신의료 기술로 인정됨에 따라 보건급여 진입도 가시권에 있다”며 “10년 후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는 만큼 인지중재치료학회가 치매 예방프로그램을 만들고 확산·보급 하는 데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