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 원내감염, 밀접 아닌 일상접촉 비중 높아'
서울아산병원 김성한 교수 '유연한 접촉자 추적 등 다양한 요소 고려 필요'
2021.08.12 12:51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정연 기자] 코로나19 확진자의 접촉자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밀접접촉자에만 집중해선 안 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성한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결과를 '대한의학회지'(JKMS) 최근호에 게재했다고 12일 밝혔다.
 
현재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코로나19 감염자와 누적 15분간 6피트(약 1.8미터) 거리에서 접촉한 경우를 밀접 접촉으로 규정한다. 일상 접촉은 이 기준을 충족하지는 않지만 확진자와 일시적 접촉이나 같은 공간에서 접촉한 경우에 해당한다.
 
김 교수는 "현행 밀접접촉자 기준은 비말 전파를 주된 전파 경로로 고려해 설정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밀접 접촉을 정의하는 '15분' 시간 기준이 자의적이며 비말 전파 기전에 주로 근거를 두고 있다"고 언급했다.
 
문제는 병원의 원내감염 전파 사례에서 일상접촉 비중이 적잖다는 것이다.
 
연구팀이 원내감염 전파 사례를 조사한 결과, 밀접접촉이 아닌 일상접촉을 통한 전파사례 비중이 전체 3분의 1 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지난해 3월부터 올해 3월까지 서울의 한 상급종합병원 내 코로나19 감염 사례를 밀접접촉과 일상접촉으로 나눠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 기간 14명의 지표환자(집단감염 내 첫 확진자)를 중심으로 총 440건 밀접접촉과 2,198건 일상접촉이 있었으며, 이중 총 36건의 전파 사례가 발생했다.
 
전파 사례 중 26건(72%)은 밀접 접촉으로 분류됐고, 나머지 10건(28%)은 일상 접촉이었다.
 
일상 접촉자 10명 중 4명은 지표환자와 노출자 모두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짧은 대화(중앙값 1.5분·범위 0.3∼3분)를 했다.
 
4명은 지표환자와 노출자 모두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대화 없이 같은 공간에 있었다. 나머지 2명은 지표환자가 떠난 공간에 머물렀다.
 
김 교수는 "의료기관 내 코로나19 전파 중 적어도 4분의 1 이상은 일상 접촉에서 발생했다"며 “확진자와 접촉을 추적할 때는 비말 전파 기반인 밀접 접촉에만 집중하기보다 유연한 방식을 택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전파 대상자의 물리적 거리와 노출 시간 뿐 아니라 지표 환자 증상, 기침이나 노래 같은 에어로졸 유발 행동 및 공간의 밀집도와 환기 여부, 실내 공간 크기 등 환경적 요소도 고려 대상”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