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치료제 '4제 병용요법' 논의 필요성 대두
초기 당뇨병환자 치료옵션 '제한적'…새로운 가이드라인 마련 등 필요
2023.09.08 05:59 댓글쓰기



국내 3제 병용요법이 보험 급여가 적용되면서 치료옵션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금년 4월 SGLT-2 억제제를 중심으로 3제 병용요법 급여를 적용하면서 ▲메트포르민+SGLT-2+DPP-4 ▲ 메트포르민+SGLT-2+TZD 계열 치료에 혜택이 늘었다.


특히 진료 현장에서는 3제 병용요법 확대로 인해 7.5%이상 당화혈색소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옵션이 확대돼 목표혈당 도달에 기여가 있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여기에 일부 제약사들을 중심으로는 3제 병용요법 치료를 위한 2제, 3제복합제 출시를 예고하는 등 업계도 적잖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대원제약은 당뇨병 3제 복합제인 다파시타엠서방정(성분명 다파글리플로진, 시타글립틴, 메트포르민) 제품을 출시하기도 했다.


대원제약 측은 “메트포르민이 포함된 3제는 한 알로 당뇨병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복용 편의성 측면에서 획기적이고, 진료 지침에도 초기 병용요법이 강조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당뇨병 치료제 병용 급여 확대 이후 제약사들이 DPP-4i와 SGLT-2i 2제 복합제를 속속 내고 있고, 메트포르민이 더해진 3제 복합제도 속속 등장하고 있는 모습이다.


다만 현재 메트포르민을 제외한 SGLT-2 억제제+DPP-4 억제제 2제요법의 경우 보험급여 적용이 안되고 조합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업계에서는 3제 병용치료 급여 확대는 환영하지만 보완 필요성 등도 꾸준히 제기된다. 새로운 약제 대응 및 4제 복합제 진료 적정성 논의 등이 바로 그것이다.


“4제 병용요법 문제 있는 것처럼 평가 아쉬움, 환자들 혜택 더 확대 필요”


만성질환 중 고혈압·고지혈 치료제의 경우 4제 복합제 시장이 꿈틀대고 있는 상황이다. 대웅제약, 한미약품, 보령 등이 3제를 넘어 4제 복합제 의약품 개발에 나섰다.


하지만 당뇨 치료제의 경우 4제 복합제에 대한 진료 적정성 평가시 약간은 문제가 되는 경향이 관측되고 있다. 바로 진료 적정성 평가에서 이 사안이 문제가 있는 것처럼 평가돼서는 안된다는 지적이다.


김대중 대한당뇨병학회 소통TFT 이사(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3제 병용 급여 확대로 환자들에게는 치료옵션이 늘어나는 등 혜택이 생겼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가격 측면에서도 당뇨약 중에서는 고가 약물들인데 보험급여 인정이 돼서 환자 부담이 줄어드는 것은 엄청난 장점”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그는 “4제 병용 요법은 진료 적정성 평가 때 문제가 있는 것처럼 평가를 해왔다”며 “이제 그런 문제가 있는 처방처럼 평가를 해온 것은 중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4제 요법도 한 가지는 비보험으로 쓰게 되겠지만, 심평원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처방으로 돼 있는 것은 사실이다. 4제 병용요법 진료도 수월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SGLT-2 억제제와 DPP-4 억제제의 경우 메트포르민과 3제 요법으로 쓸 땐 제한 없이 쓸 수 있지만, 2제 요법을 쓸 경우 전액 환자 본인부담으로 인해 사용할 수 있는 조합도 제한적이다.


3제 처방만 불필요하게 확대되는 것에 대한 우려도 일부 있다. 


예컨대 3제 처방으로 혈당조절이 완화된 환자가 2제로 약을 줄여도 될 상황에서 굳이 2제로 바꿀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


이는 결과적으로 메트포르민 복용이 필요 없는 환자에도 메트포르민을 처방할 경우, 복용하지 않고 버려져 생기는 사회적 비용 증가 등이 문제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문민경 대한당뇨병학회 진료지침이사(서울대 보라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당뇨병 초기에 당화혈색소가 7.5% 미만 환자의 경우 급여 기준에 따라 쓸 수 있는 것이 한정됐다”고 말했다.


이어 “오히려 7.5% 이상인 경우에는 쓸 수 있는 조합이 자유롭다”며 “혈당이 양호한 환자의 경우 원하는 클라스 기전의 약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은 아쉬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문 이사는 또한 “초기 환자 중에서 일부 심혈관질환 등 기전을 가진 당뇨 환자 병용 권고 조합들의 경우 급여가 안되는 경우도 있다”며 “초기 철저한 혈당 조절을 할 수 있게 다양한 약제들이 선택 될 수 있는 급여 기준이 마련되면 좋을 것 같다”고 제언했다.


이 외에도 당뇨 치료제 시장에 새로운 약제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해당 약제들과 기존 약제들을 어떤 조합으로 써야 하는지 가이드라인 등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김대중 소통TFT 이사는 “새로운 계열 약물이 들어올거를 준비해야 한다. 새로운 계열 경구약 및 주사제가 나올 가능성이 있고 그에 대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이어 “세마글루타이드 때도 논의가 되다가 지금은 중단됐는데, 원칙을 만들어 놓은 것을 따라가면 되는데 과정이 지지부진하다. 가이드라인 등 어떤 합의점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새롭게 나오는 획기적인 당뇨병 약들이 줄을 섰는데, 그런 약물들 접근이 잘 안되는 안타까운 현실”이라며 “약가 등 허들이 있어서 정부가 전향적으로 고민해야 한다. 외국에선 먼저 쓰는 약물도 우리는 이제야 들어오는데 나중에 큰 이슈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