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 늘렸지만 부족, 의대 증원도 비슷한 결과"
전공의-의대생 '회의적 반응' 지배적…"의료계 총파업 참여는 부정적"
2023.11.03 05:50 댓글쓰기



정부가 의대정원 확대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나선 가운데, 전공의를 비롯한 의과대학생 등 의료계 젊은층에서도 불만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다만 3년 전과 같이 파업의 선두에서 이를 주도할 의지는 없다는 것이 지배적인 반응이었다.


정부는 의과대학 정원 확대를 위해 전국 40개 의과대학을 대상으로 수요조사에 나선 상황이다. 설문조사 결과 등을 고려해 내년 4월까지 증원 규모를 확정지을 전망이다.


이에 대한의사협회는 전국 16개 시도의사회 등과 긴급회의를 소집하고 “정부가 일방적으로 의대 정원 확대를 강행하면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서 강경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젊은의사들 역시 “필수의료 강화를 위해 의대 정원을 늘리는 정부 정책에 반대한다”고 입을 모았다.


수도권의 병원에서 수련 중인 전공의 A씨는 “의대 증원이 늘어난다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은 이미 근처 간호대에서 확인했다”며 “수년 전부터 계속해서 정원을 늘리고 있지만 임상현장에서 간호사 부족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실제 정부는 간호사 수급을 위해 지난 10년 동안 꾸준히 간호대 정원을 늘려 간호대 입학정원은 2013년 1만7783명에서 2023년 2만3183명까지 증가했다.


하지만 병원은 여전히 간호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높은 업무 강도 등으로 간호사의 이직 및 사직 문제가 개선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간호협회가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면허를 갖고 있지만 임상에서 근무하지 않는 유휴간호사 수는 2018년 10만2420명에서 2019년 10만4970명, 2020년 10만6396명으로 매년 2.5%포인트가량 증가해 3년 새 3976명이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A씨는 “의료진이 기피하는 분야는 저수가와 높은 업무강도 등으로 미래가 없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라며 “절대 한 해에 배출되는 인력이 적기 때문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미 실패가 증명된 정책을 왜 또다시 시도하려는지 모르겠다”며 “총선 이전 정치적 여론몰이에 의료계가 희생당하는 일은 없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의대생 역시 정부의 갑작스런 의대 증원 추진에 허탈감을 드러냈다. 


의대생 B씨는 “정부가 언급한 천명대의 증원이 이뤄진다면 의과대학뿐 아니라 전반적인 공대 및 이과대학 입시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며 “학생들 사이에서는 허무하다는 분위기가 크다”고 전했다.


병원장 대다수 "의대증원 찬성하지만 전공의 파업 동참 부담"


이들은 지난 2020년과 같은 젊은의사 총파업 재연 가능성에는 고개를 저었다.


전공의는 대학병원에서 핵심 인력이기 때문에, 이들의 참여 여부가 파업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라고 봐도 무방하다.


하지만 대한전공의협의회 또한 3년 전과 같이 파업을 주도하기보단 대한의사협회 산하협회로 그들의 대응에 따라 파업 수위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전공의 A씨는 “전공의들 파업 참여 여부에 대해 의료계와 언론은 관심을 갖고 주목할 것”이라며 “그만큼 신중하게 결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3년 전에는 한마음으로 의대증원을 반대하며 목소리를 내는 분위기가 있었다”며 “현 정부가 전공의가 총파업으로 대응했음을 알면서도 같은 정책을 추진하는 상황 속 같은 방식의 투쟁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도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의대생이 늘어나면 가장 손해 보는 사람은 지금의 전공의와 의대생일 것”이라며 “하지만 병원장 대다수가 의대 증원에 공감을 표한 상황 속 전공의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파업에 동참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의과대학생 역시 분위기는 지난 2020년과 다르다.


의대생 C씨는 “과거에는 동맹휴학이나 시험거부 등 조직적인 행동이 많았다면 지금은 전혀 분위기가 다르다”고 밝혔다.


그는 “3년 전 의사들이 단결해 파업을 진행했을 때 위에서부터 투쟁을 철회하면서 마지막까지 전선에 남아 국시를 거부한 의과대학생들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며 “정부와 협상을 통해 국시 기회를 다시 획득했지만 너무 힘든 시기였다”고 전했다.


이어 “학생들이 개인적으로 집회에 참여하는 등 목소리는 낼 수 있겠지만 과거처럼 학생부가 조직적으로 파업을 주도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 4
답변 글쓰기
0 / 2000
  • 말이되냐? 11.09 11:46
    뜬금없이 간호사랑 비교하다니...... ㅋㅋ 연봉 3억원을 준다고 해도 콧방귀도 안뀌는 의사랑 월급 300만원에 아둥 바둥 죽어라 일하는 간호사랑 같냐?



    임수민 기자? 먹고 살기 힘들지.... 그래도 최소한의 양심은 가지고 기사를 쓰자!!! 데일리메디가 대한민국에 커다란 언론사는 아니지만 그래도 소위 언론인 아니냐?



    일하는 회사는 대형 언론사가 아닌데 마인드는 조중동이라서 그래? 그래서 이런 엉터리 여론을 조장하는 기사를 작성하는 거야? 왜 사람들이 언론인을 기레기라고 부르는지 다시한번 생각해봐라.
  • 이유 11.04 17:50
    간호사는 싼값에 의사들이 부릴려고 하니까 부족한거고

    봐라.. 월급 250~300십년전이나 비슷하잖아. 노동강도는 세지고 월급은 간병인수준이고.



    의사가 부족한건 월급이 천정부지로 2~3억씩 다 올랐기에 이왕이면 편하게 일하고 사고적은 곳에서 책임 덜지며 살고 싶은 욕망때문인거지.

    PA만들어 인건비아끼고 의사들 주머니채우고 덜 힘들게 일할 수 있잖아.



    정부도 도와주고 복지부도 방관해주니 좋잖아.

    권력가진 의사들 국회에 많잖아
  • 웃기는집단 11.03 11:48
    왜 파업할 동력이 없어? 문재인 정부 때 겨우 연 400명 한시적 증가에도 그렇게 파업했으면서? 윤석열 정부는 최소 1000명 얘기가 나오는데 왜 구속될까봐 무서워?
  • 현실적 해결책 11.03 09:41
    근본 해결책  의료 급여 일원화하고, 공공보험이든 사보험이든 선택해야-  비급여 도 같은 잣대로 심사 임의비급여 금지



    현실 해결책  351명 정원 줄인것과, 한의대 정원을 의대로 흡수 통합. 현재한의사및 한의대 교수 구제방안을 충분히 담아야

    지역의료 가장 급한 해결방안- 전공의 티오 지방 60프로 이상 지방 10년근무 조건 의대만들면 13-15년 걸리지만 전공의를 지방및 필수의료로 유인하면 3-6년이면 지바의료인력을 충원할수 있음

    필수의료 의료소송구제 방안- 공공 보험 ( 정부 의협, 의사가 필수의료정도에따라 비율 분담)  피부 미용-100프로 의사부담.  소아,산모, 심장, 뇌 수술 80프로 정부 10프로 의협 의사 10프로 등세분화

    필수의료 수가 - 파격적인상 다만 인상된 비용에  50%가 의료직 인건비 상승으로 가게 제도화                      지역필수의료수가- 지역에따라 5-20% 가산금을 매겨서 지역필수의료를 담당하면 수익이 더나게 변경하고 그수익금의 50%를 의료진 (의사,간호사등) 으로 가게 정책 설계

    비필수의료- 성형, 비만, 뷰티, 노화, 통증, 척추 관절, 모발등 에서 10-20% 필수의료 지원세금을 걷게 설계



    필수의료로 간돈이 병원 배만 불려서는 의료진이 가지를 않는다.  현재 의대를 늘리면 15년이 걸리는 말도 안되는 정책으로  지금 당장 전공의를 지방에 배치하면 3-5년이면 됨 다만 규제와 지원 제도를 활용해야함

    한의대를 적극 활용하여 의협의 증원 반대를 돌파하고 의료일원화 기회로 삼아야함 다만 기존한의사와 한의대교수등 보호제도를 설계해야함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