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 유동성 위기에 긴급자금지원 요청
2000.08.31 11:21 댓글쓰기
의약분업 실시와 의료계의 장기 파업 등으로 인해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제약업계에 자금지원과 금융채권 회수기간 연장 등 긴급조치가 불가피하게 됐다.

제약협회(회장 김정수)는 31일 청와대, 국무총리실, 기획예산처, 재정경제부, 보건복지부, 금융감독위원회, 여·야 정당 등에 이같은 위기상황을 담은 긴급 금융지원 요청서를 전달했다고 31일 밝혔다.

제약협회는 요청서에서 ▲운영자금 지원 ▲금융채권 회수기간 연장 ▲분업시행에 따른 추가비용의 보험약가 보전 ▲진료비 개산불 지급 등을 촉구했다.

협회는 "의약품 매출급감과 매출채권 회수 장기화 등으로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는 제약업계에 금융문제를 정책적으로 긴급 지원해 달라"고 요망했다.

협회는 또 "의료기관의 장기폐업에 따라 의료기관의 재정악화는 물론 약국도 매출이 급감해 자진폐업이 속출하고 있다"며 "이는 제약기업의 자금악화를 가속화시켜 병의원·약국·제약기업의 연쇄부도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제약업계는 그동안 약효동등성 시험비용, 덕용포장의 소포장 변경·생산 비용, 낱알인식 표기에 따른 비용부담 등으로 최소 7천억원의 추가비용 부담이 발생했다고 주장해 왔다.

업계는 특히 의료계 폐업으로 인해 의약품 판매대금 결제가 유보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민들이 잘못된 인식으로 일반약 구입을 꺼려 자금난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병·의원의 의약품 처방시 약효동등성이 인정된 품목은 다양하게 처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편향 처방되는 문제도 제약기업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라는 것이 제약업체들의 하소연이다.

제약계는 처방약의 원할한 공급을 위해 평소 보다 2~3배의 물량을 생산·공급하는데 따른 원부자재 및 인건비 부담도 안고 있는 상황이다.

제약협회는 이와관련, 이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오는 10월이나 12월경에 대대적인 유동성 위기상황이 도래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한편 분업시행 후 의약품 사용량은 의·약사의 과잉투약 억제 및 병·의원에서 발행한 처방손실 미조제분 등으로 약 8천200억원 규모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