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영 장관 후보자 '당뇨환자, 의사 교육상담 필요'
'연속혈당측정기 사용법 미숙지로 활용도 낮아, 추가 확대는 검토'
2022.05.02 11:5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백성주 기자] 정호영 보건복지부장관 후보자가 “당뇨병 환자에 대한 건강보험 확대 필요성에 공감한다”면서 연속혈당측정기의 교육상담수가 도입에 대해 긍정 반응을 나타냈다. 
 
다만 연속혈당측정기의 건강보험 추가 확대에 대해선 “적용 우선순위, 건보재정 상황 등을 고려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오는 3일 인사청문회를 앞둔 정 후보자는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의 인사청문회 사전질의 서면답변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국내 당뇨병 환자는 500만명을 넘었다. 당뇨 전(前) 단계에 이른 이은 830만명, 당뇨병 고위험군에 있는 사람도 13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발병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고 합병증으로 사회적 비용이 급증하면서 국가 차원에서 통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먼저 정 후보자는 당뇨병 환자 치료 등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 확대에 공감을 표명했다. 또 연속혈당측정기 사용에 대한 의료진 교육상담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기존 급여중인 1형 당뇨병 환자의 연속혈당측정기 사용의 경우 사용법 미숙지 등의 이유로 연속혈당측정기 활용율이 높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정 후보자는 “이에 대한 활용율을 높이기 위한 의사의 환자 교육 등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연속혈당측정기 건보 적용 추가 확대는 적용범위 등 우선순위, 건보재정 상황 등을 고려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중증질환 신약 건보적용 확대하고 재활로봇 보행치료 활성화 지원”
 
정호영 후보자는 소아백혈병, 중증희귀질환 등 신약의 건강보험 적용 확대 필요성에 대해서도 찬성 입장을 보였다. 또 재활로봇 보행치료 활성화도 검토할 예정이다.

정부는 소아·희귀질환 등 중증질환 치료제의 보장성 확대를 위해 위험분담제 도입 및 경제성평가 면제 등 제도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정 후보자는 “이 같은 정부 노력을 잘 알고 있다”면서 “중증 희귀질환의 치료 접근성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잘 살펴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의료기술 향상으로 신체적 어려움을 가진 환자들의 재활을 돕는 로봇이 많이 개발되고, 건강보험 적용 요구가 높다. 
 
신의료기술평가 등을 통해 안전성 및 유효성이 입증되고, 기존기술보다 치료 효과성, 경제성 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건강보험 적용 확대는 필요한 상황이다. 
 
정 후보자는 “재활로봇 보행치료는 평가 결과에 따라 올해 2월부터 건강보험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제했다.
 
그는 “향후 건강보험 적용 등에 따른 효과성 등을 파악해 재활로봇 보행치료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확대 등을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