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의료 포함 '의료-IT 융합' 대세지만…
政 '적극 추진' 재확인…醫 '흐름 부정 않으나 임상 적용 등 무리'
2015.11.06 20:00 댓글쓰기

혈당이나 생체리듬이 실시간으로 체크된다. 당이 떨어지면 인슐린이, 혈압이 높아지면 강하제가 자동으로 체내에 투여되고, 피부전도나 심장박동, 호르몬 변화량, 유전자 정보 등은 간단히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환자 개인의료정보는 인공지능이 분석・처리해 적절한 조치가 자동으로 이뤄질 수도 있다. 의사는 인공지능이 내린 진단이나 처방을 사전 혹은 사후에 검증하고 관련 사항들을 분석, 건강증진을 위한 연구나 중장기적 관리계획 따위를 전한다.

 

일련의 모습은 조만간 일어날 미래보건의료의 단면이다. 실제 지금도 현미경으로 활용하는 스마트폰, 심장박동이나 혈당량을 알려주는 웨어러블 기기들이 보편화되는 추세다. 심지어 암이나 질환에 대한 진단을 보조하는 인공지능도 일부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미래 보건의료 가능성을 이야기하고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당연하지만 원격의료에 대한 논란도 빠지지 않았다.

 

지난 6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이 주관한 '제1차 미래보건의료포럼'에서 정부와 각계각층의 인사들은 다양한 미래의료환경을 제시하며 향후 이를 맞이하기 위한 자세 및 정보, 기술 등을 점검하고 소개했다.

 

특히 보건복지부 정진엽 장관은 축사를 통해 의료와 IT 융합은 필연이며 의사와 환자간 원격의료도 그 일부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적극적인 추진 의사를 밝혔다.

 

정 장관을 대신해 참석한 권덕철 보건의료정책실장(사진)은 "정부는 의료계에 발달된 IT를 도입해 건강관리를 해보자는 측면에서 원격의료를 시도하려는 것"이라며 "의료상업화나 영리화 같은 것이 전혀 아니다. 진정성을 알아달라"고 호소했다.

 

이어 "바이오 및 의료분야에서 많은 부분이 기술적 진보나 발전을 이뤘다. 하지만 규제의 틀에 묶여있다"며 "신의료기술이나 식약처 허가가 나오지 않아 약이나 기술이 있어도 규제에 묶여 이를 활용해보지 못하는 것도 있다"고 전했다.

 

원격의료 '반보 전진'…전문가 "도입은 찬성"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원격의료를 비롯한 미래 보건의료 기술발전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는 분위기였다.

 

서울아산병원 이재호 교수(응급의학과)는 "장애인과 노인을 중심에 두고 기술발전에 따른 혜택과 유용함 파악해야 한다.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지출과 만성질환 관리 필요성이 높아지며 취약계층인 장애인과 노인 편의 및 관리 유용성을 위한 기술의 발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가천대학교 길병원 박동균 소화기내과장 겸 유헬스(U-Health)센터장은 "미래보건의료포럼이라지만 이미 현실"이라며 "원격의료 등이 가야할 길임에는 분명하다. 회피가 아닌 적극적인 의료인들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개원내과의사회 남준식 정보통신이사도 "원격의료를 의사들이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로봇수술 등 이미 의료환경에서 원격의료는 쓰이고 있다"면서 "의사들도 IT를 통한 의료비 절감과 정밀도 및 정확도, 편의성의 증대를 부정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다만 이들 모두 원격의료 도입 또는 IT와 의료 융합을 전면적으로 허용하거나 임상에 적용하기에는 이르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의료계에서 이를 받아들일 환경적, 정서적 준비가 돼지 못했으며 그 효과성 또한 입증되거나 구체화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상명하달식 무리한 강행 아닌 설득 전제로 한 점진적·포괄적 검토 필요"

 

이와 관련, 서울와이즈요양병원 김치원 원장은 "미래 의료에서 장애를 극복하고 건강한 노후를 맞을 수 있는 방안으로 디지털헬스케어가 확산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적극적으로 이를 도입하고 발전시키고 있다는 미국조차 임상에 전향적으로 도입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어 "의사들은 생명과 사람을 다루기에 상당히 보수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교육받는다. 미국 또한 많은 부분 디지털헬스케어시스템을 접목하지만 제한적이고 국한된 환경이다. 상명하달식 무리한 강행이 아닌 설득을 전제로 한 점진적・포괄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남 이사는 "의료현장에서 간단한 컴퓨터 장애에 초동조치를 하지 못하는 이들이 95%에 달한다는 보고나 원격의료 등 발전된 IT기술 도입에 필요한 능력을 갖춘 이들이 많지 않다"고 현실을 지적하며 "사회적 준비와 여건이 선행적으로 마련돼야 한다"는 뜻을 피력했다.

 

환자단체연합회 안기종 대표도 "미래라는 측면에서 피할 수 없는 길이지만 정부가 의료계를 잘 설득하며 천천히 준비해야 한다"며 "신성장동력이란 말부터 잘못됐다. 국부를 창출하고 산업으로 돈을 벌겠다는 접근은 격차와 반대를 줄이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안 대표는 또 "환자가 똑똑해지고 있다. 하지만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제대로 똑똑해지지는 못하고 있다"며 "이제는 의료진과 정부가 환자들이 제대로 똑똑해질 수 있도록 돕고 권위가 아닌 존중의 자세로 서로 신뢰를 쌓아가야할 때"라는 주장을 펼쳤다.

 

이 외에도 이날 포럼에서는 정서적, 기술적 접근 외에도 건강보험체계에 따른 미래의료기술 혹은 디지털헬스케어시스템 도입의 어려움에 대한 지적도 제기됐다. 현 건강보험체계 상 산업계에서의 적극적인 투자 및 기술개발에 따른 보상이 불명확하며 유인 동기가 크지 않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김강립 보건의료정책국장은 "원격의료보다 더 넓은 수준에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보건의료 발전 가능성을 봤다"며 "현장의 염려 충분히 이해한다. 변화에 대한 우려와 걱정을 감안해 정책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