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층 두개골에 '뿔 모양' 뼈 돌출현상, 스마트폰 탓'
고개 숙인 자세서 목 뒤 하중 지탱하려···'첨단기술이 골격에도 영향'
2019.06.21 18:46 댓글쓰기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스마트폰을 많이 이용하는 젊은 층에서 두개골에 '뿔 모양'으로 뼈가 튀어나오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주 퀸즐랜드주의 선샤인코스트대학 연구팀이 18세에서 86세 사이 성인 1천200명의 엑스레이 사진을 분석한 결과 이 중 젊은 층을 중심으로 세 명 중 한 명의 두개골 뒷부분에서 뿔처럼 뼈가 자라나는 경향을 발견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외후두 융기'(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로 불리는 이 현상은 처음 보고됐던 19세기 후반에는 매우 희귀한 사례로 여겨졌지만, 최근 크게 늘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연구팀은 스마트폰을 이용할 때 고개를 푹 숙이는 것을 그 원인으로 꼽았다.
 

사람이 스마트폰 화면 등을 보려 고개를 숙일 때 두개골의 하중은 척추에서 머리 뒤쪽의 힘줄과 인대로 넘어가는데, 인체는 이를 지탱하기 위해 뼈를 자라나게 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특히 이 현상이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더 긴 젊은 층에서 더 두드러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한 예로 연구대상자 중 한 28세 젊은이의 뼈는 2.78㎝였지만 58세 중년의 경우 2.45㎝였다.
 

28세 청년의 두개골 엑스레이(위)와 58세 중년의 엑스레이(아래)
28세 청년의 두개골 엑스레이(위)와 58세 중년의 엑스레이(아래)위는 튀어나온 부분이 2.78㎝인 데 반해 아래는 2.45㎝로 더 짧다 [사이언티픽리포츠 홈페이지 캡처=연합뉴스]
 

연구팀은 뼈가 튀어나오는 현상이 머리는 물론 등 위쪽과 목에 만성적인 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 심각한 기형의 징후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구팀은 자신들의 연구가 일상생활에 침투한 스마트폰 등의 첨단기술이 골격에 미치는 영향을 처음으로 관측한 것이라고 자평했다.
 

다만 예일대학 생리·뇌과학과 교수인 마이클 니타바흐는 이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된 엑스레이 사진을 제공한 개개인의 "휴대전화 사용 행태에 대해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휴대전화 사용과 두개골 형태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결론짓기는 불가능하다"며 한계를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의 온라인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발표됐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