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보트 "프리스타일 리브레, 年 100억불 가능"
JP모건 헬스케어콘퍼런스 발표…덱스콤, 새 연속혈당측정기 '스텔로' 출시
2024.01.16 06:02 댓글쓰기



애보트의 연속혈당측정기 '프리스타일 리브레'의 사용 모습.

연속혈당측정기(CGM) 업계 양대산맥이라 불리는 애보트와 덱스콤이 최근 폐막한 세계 최대 바이오 헬스케어투자포럼 ‘JP모건 헬스케어콘퍼런스’에서 역대급 실적을 뽐냈다.


두 업체는 모두 제2형 당뇨병 환자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속혈당측정기 시장 확대를 예고하며, 연간 20%에 달하는 매출 성장을 기대했다.


로버트 포드 애보트 최고경영자는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콘퍼런스에서 자사의 연속혈당측정기 모델인 ‘프리스타일 리브레’에 대해 “2028년까지 연매출이 100억달러(약 13조1500억원)를 넘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이 모델은 출시 후 매년 승승장구하며 2022년 매출이 전년 대비 22% 증가한 43억달러(약 5조6545억원)를 기록했다. 국내에서도 출시 3년만인 지난해 5월까지 60만개가 판매됐다.


포드 CEO는 “수익 측면에서 볼 때 역사상 가장 성공을 거둔 의료기기다. 향후 매출이 매년 15%씩 성장한다면 2028년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애보트는 매출 성장을 위해 지금까지 점유율이 낮던 영역에 도전할 방침이다.


우선 인슐린 펌프 사용 환자들 사이에서 이용률이 낮은 것을 해소하기 위해 이달 초 의료기기 업체 탠덤다이베츠케어의 인슐린 펌프와 연동한 시스템을 선보였다.


포드 CEO는 “나아가 포도당과 케톤을 함께 측정하는 이중센서도 개발해 인슐린펌프와 연동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기저인슐린만 처방받는 제2형 당뇨병 환자들과 당뇨병을 우려하는 일반인으로 고객층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미국 공보험인 메디케어가 지난해부터 기저인슐린만 처방 환자에게도 연속혈당측정기 급여를 보장하면서 이용량이 대폭 늘 것으로 전망된다.


덱스콤의 연속혈당측정기 모델 G7.

덱스콤의 케빈 세이어 CEO도 JP모건 헬스케어콘퍼런스에 참석해 제2형 당뇨병환자를 위한 새로운 연속혈당측정기를 조만간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덱스콤은 지난해 말 미국식품의약국(FDA)에 새 연속혈당측정기 모델 ‘스텔로(Stelo)’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기는 사용자가 혈당수치뿐만 아니라 식이요법, 운동, 수면, 스트레스 등 지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세이어 CEO는 “제2형 당뇨병환자는 기존 연속혈당측정기의 주의 및 경고 알람 등 모든 기능이 필요한 것은 아니”라며 “그들을 위한 맞춤형 소프트웨어 기능을 제공하겠다”라고 밝혔다.


덱스콤은 이를 포함해 올해 전체 매출이 전년대비 24% 증가한 36억2000만달러(약 4조76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덱스콤은 지난해 4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한 10억3000만달러(약 1조3544억원)를 기록하며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세이어 CEO는 “앞으로 1년간 기록적인 신규 환자를 확보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이달 9일 소아당뇨 치료에 경제적 어려움을 겪던 일가족이 극단적 선택을 하면서 연속혈당측정기 지원에 대한 요구가 다시금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지난 10일 SNS에 조규홍 장관이 “2월 말부터 소아당뇨 환자와 가족분들이 고가의 정밀 인슐린 자동주입기 등 당뇨 관리기기 구입 비용에 대한 건강보험 지원을 대폭 받으실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당뇨병 환자 단체는 이를 환영하면서도 소아당뇨뿐 아니라 성인 당뇨 환자에 대한 지원도 촉구했다.


김재현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지난 11일 국회에서 열린 ‘인슐린이 필요한 중증 당뇨병 관리체계의 선진화 방안’ 토론회에 참석해 “현재 1현 당뇨병인구가 60세 이상이 43%로 가장 많지만 연속혈당측정기를 지속 사용하는 비율은 3.9%에 그친다”며 “급여지원대상을 나이가 아닌 질환의 중증도로 구분해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댓글 1
답변 글쓰기
0 / 2000
  • 1형당뇨 03.02 15:43
    우선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그런데 "소아당뇨"가 아니고 "1형 당뇨"가 맞는 표현입니다^^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