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결과 기반 '한국인 맞춤형 항혈전제 치료' 필요"
정영훈 교수(중앙대광명병원 순환기내과)
2023.08.14 06:15 댓글쓰기

[특별기고]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흡연 및 비만 등의 심혈관계 위험인자는 혈관을 딱딱하게 만들 뿐 아니라(동맥경화증), 혈액을 탁하게 만든다.


혈관에 동맥경화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도, 혈액을 맑게 유지하는 것이 무병장수에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흔히들 ‘피가 맑아야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다’는 설명을 비과학적이라고 하지만, 혈액이 탁하지 않아야 혈전이 발생하지 않으니 상당히 과학적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개개인이 가지는 ‘혈전 성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나, 아직까지는 널리 인정된 측정법은 없는 상태다. 


한국인은 서구인에 비해 동맥 및 정맥의 혈전증 발생 위험이 낮고, 뇌출혈 등의 위중한 출혈 위험은 상대적으로 높다.


이런 현상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인은 2012년 세계 처음으로 ‘동아시아인 패러독스’를 주장해 ‘한국인에 적합한 항혈전제 치료 지침’ 개발을 이끌고, 이와 관련해 다양한 임상연구 및 특허 출원을 진행하고 있다.


어떤 증상이 있을 때 센터를 방문하면 될까?


인터넷을 찾아 보면 ‘혈액순환이 잘 안 될 때 나타나는 증상’이라고 해서 나온 것을 보면 ▲하체 부종 ▲발 저림 ▲수족냉증 ▲치매 ▲ 만성피로다. 이들 설명 중에는 맞는 부분도 있지만, 다른 문제와 관련된 증상을 혈액순환 문제라고 착각하는 경우도 많다.


‘혈전 성향’은 노화와 함께 흡연, 비만 및 당뇨 등의 심혈관계 위험요소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을 때 높아지기 때문에, 이들 문제를 미리 확인하고 젊은 나이부터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요 혈관에 혈액순환 문제가 발생한 경우, 대부분 초기에는 동반된 증상이 없기 때문에 알기 어려우며, 증상이 발생한 후(예: 흉통, 어지럼증, 두통 등)에는 동맥경화증 및 혈전 성향이 많이 진행된 경우가 흔하다.


따라서 심혈관계 위험인자가 잘 관리되지 않을 때,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이전에 없던 다양한 신체증상이 나타날 때, 또는 이전과 다른 증상(흉통, 파행)이 갑자기 나타날 때는 가능한 빨리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코로나19 감염이 ‘혈전증’ 위험을 높인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후 중국 전역 및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을 말한다.


코로나19는 높은 변이 발생 및 전파력을 통해 이미 전세계적으로 전파됐고 기존 독감에 비해 높은 치사율과 더딘 치료제 개발로 인해 인류에 큰 위협이 됐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폐포세포에 있는 수용체(ACE2)를 통해 인체에 전파되고 광범위한 염증 반응을 유발해 호흡기질환으로 진행하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장기에 합병증을 유발해 치명적인 상태로 진행한다


특히 폐렴에 동반된 급성 및 만성 심혈관계 질환은 다양한 기전에 의해 발생되지만, 사망에 이르는 가장 중요한 기전은 ‘염증-혈전 성향’의 급격한 증가로 설명되고 있다. 즉, 전신 염증반응을 유발해 일명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뿐만 아니라 ‘혈전 성향’도 같이 매우 증가시킨다.


현재 흥미로운 사실은 전세계적으로 나라 및 인종에 따라 코로나 치사율이 상당히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즉, 흑인들은 다른 인종에 비해 높은 치사율을 보이고, 동아시아인들의 치사율은 전체적으로 제일 낮은 편에 속한다.


이런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사회-경제적 차이, 문화적 배경 및 의료기관 접근성의 차이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충분한 설명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미 이전 연구에서도 미국 흑인들은 다른 인종에 비해 ‘혈전 성향’이 제일 높으며, 또한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및 예후도 가장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높은 ‘혈전 성향’이 코로나 감염증에 의해 더욱 증가되며 이는 동맥 및 정맥혈전증 발생으로 이어진다는 설명으로 점차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코로나 감염증은 염증-혈전 성향의 급격한 증가를 유발하며, 적절한 항바이러스 치료 뿐 아니라 항응고제 조기 도입이 환자 예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아직 표준화된 ‘혈전 성향’ 측정법이 없어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검사 결과에 기반한 ‘환자 맞춤형 치료’를 적용해야 한다.


한국인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관찰되는 코로나 감염증 후 혈전병 발생은 방역 정책보다는 기본적으로 갖는 낮은 ‘혈전 성향’이 원인이 되리라 생각돼 적절한 혈전 성향 평가를 위한 검사법 및 그에 따라 치료법을 다변화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여러 연구를 통해 서구인에 비해 한국인은 상대적으로 낮은 ‘혈전 성향’(맑은 피: 낮은 염증 및 응고 수치)을 갖고 있으며, ‘출혈 위험’은 높고 항혈소판제 및 항응고제에 대한 반응이 일반적으로 높다.


이번에 새롭게 개소한 중앙대광명병원의 혈전-바이오마커센터는 적절한 항혈전제 사용을 위한 중개 및 대규모 임상연구 진행, ‘혈전 성향’의 올바른 측정을 위한 검사법 및 바이오마커 개발 등을 위해 만들어졌다.


순환기내과 주도로 국내 최초로 개설된 만큼 혈전 고위험군 또는 심혈관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인 맞춤형 항혈전제 치료법’ 개발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