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교수협 "교육 질(質) 무시한 땜질식 처방"
"지역 2차병원 임상실습·전공의 수련 등 주먹구구, 교육부 사과하라"
2025.05.14 15:51 댓글쓰기



사진제공 연합뉴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이하 의대교수협)가 최근 교육부가 발표한 의대 교육 운영 방침에 대해 "교육의 질(質) 무시한 땜질식 처방"이라고 비판하면서 정책 전면 재검토와 교육부 사과를 촉구했다.


의대교수협은 14일 발표한 성명에서 "의대생 교육과 전공의 수련을 국립대병원 및 사립대 부속병원 등 교육병원이나 수련병원에서 감당하지 못하고 등 떠밀리듯 지역의료원, 지역 2차 병원들이 주먹구구식으로 임상 실습과 전공의 수련을 분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12일 브리핑에서 "2026년도 예과 1학년 수업 규모가 1만명이 아니라 6000명이라서 예과 교육에 어려움이 없으며, 본과 3~4학년 임상실습과 전공의 수련을 지역의료원이나 지역 2차병원에서 분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의대교수협은 "교육 질을 유지하기 위한 고민과 준비도 없이 땜질식 처방으로 교육을 해서는 안 된다"며 "미국·일본 등에서는 의대나 수련병원 교육 여건이 뒷받침되지 않아 의대 입학 정원을 줄이거나 아예 신입생 모집을 중단하기도 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규모 증원 시 교육병원들이 정상적인 임상실습과 전공의 수련을 감당할 수 없다는 걸 정부가 인정한 꼴"이라며 "의대생 휴학 등이 없었더라도 2~3배로 과도하게 증원된 대학들에서는 제대로 교육할 여건이 안 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결국 윤석열 표 의대 증원은 교육 여건이나 교육의 질을 완전히 도외시한 폭압적 정책이었고 보건복지부와 교육부는 그걸 땜질하느라 바빴을 뿐"이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대학별 유급과 제적 문제에 대해 "대학생 유급 및 제적은 대학 학칙에 따라 각 대학에서 자율적으로 판단하는 사안"이라며 "개별 대학 학사운영에 대한 겁박과 지나친 간섭은 사태 악화를 초래할 뿐"이라고 비판했다.


의대교수협은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으면 편법적인 편입학으로 그 자리를 모두 채울 것이라고 협박하는 교육부와 대학 총장들은 의학교육뿐 아니라 이공계 교육까지 파괴하려는 것인가"라고 물으며 "작년부터 이어지는 보건복지부와 교육부의 강압적인 행정 지도들은 '20세기 군부독재시대'로 돌아간 듯한 착각마저 들게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처음부터 잘못 채워진 단추를 그냥 놓아둔 채 미봉책만 나열해서는 근본적인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덧붙이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합리적, 비민주적 정책을 추종했던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는 이제라도 솔직하게 오류를 인정하고, 근본적 수습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이대로 의학교육의 파행이 지속된다면 미래 의료는 암울할 수 밖에 없다"며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의료계, 정치계, 정부 모두 합심해 시급하게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1
답변 글쓰기
0 / 2000
  • 황강 05.14 17:42
    3년치의 의대생들이 쌓였는데 그게 제대로 교육될 리가 있나. 휴학을 했던 학번은 뒤로 돌리고 26학번부터 제대로 교육하길 바란다.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