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상처 위에 희망을 꽃피우라는 명령과 새로운 나라를 만들라는 간절한 염원에 응답하겠다. 크게 통합하라는 대통령의 또 다른 의미에 따라 모든 국민을 섬기는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
제21대 이재명 대통령은 4일 오전 11시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 선서를 한 후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희망의 새 나라를 위한 국민 명령을 준엄히 받들겠다"고 밝혔다.
이날 취임선서식 초청대상은 5부 요인(국회의장,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국무총리, 중앙선거관리위원장), 국무위원, 국회의원(정당대표 포함) 등으로 알려졌다.
과거 대통령 취임식과 달리 보신각 타종 행사나 군악, 의장대 행진, 예포 발사 등의 식순은 모두 생략됐다. 취임 선서로 간소화하는 대신 제헌절 기념식에 맞춰 별도 임명식을 가질 예정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정쟁 수단으로 전락한 안보와 평화, 무관심과 무능 무책임으로 무너진 민생과 경제, 장갑차와 자동소총에 파괴된 민주주의를 다시 일으켜 세울 시간"이라고 운을 뗐다.
"내란 종식을 넘어 빛나는 새 나라를 세울 것"이라며 "우리는 지금 대전환의 분기점에 서 있다. 모든 영역에서 엉킨 실타래처럼 겹겹이 쌓인 복합 위기에 직면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 국민은 혼돈과 절망 속에서도 나아갈 방향을 찾았다"며 "주권자 국민의 뜻을 침로로 삼아 험산을 넘고 가시덤불을 헤치고서라도 전진하겠다"고 약속했다.
비상경제대응TF 바로 가동· 국가 재정 마중물로 삼아 경제 선순환
특히 이 대통령은 실용적 시장주의 정부로 스스로를 규정하고, 민생 회복 및 경제 살리기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우선 민생 회복과 경제 살리기부터 시작하겠다"며 "불황과 일전을 치르는 각오로 비상경제대응TF를 바로 가동하고, 국가 재정을 마중물로 삼아 경제의 선순환을 되살리겠다"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이제 출범하는 민주당 정권 이재명 정부는 정의로운 통합정부, 유연한 실용정부가 될 것"이라며 "박정희 정책도, 김대중 정책도 필요하고 유용하면 구별없이 쓰겠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통제하고 관리하는 정부가 아니라 지원하고 격려하는 정부가 되겠다"며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기업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규제는 네거티브 중심으로 변경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AI, 반도체 등 첨단 기술 산업에 대한 대대적 투자와 지원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재생에너지 중심사회로의 전환 등을 약속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명실상부한 '국민이 주인인 나라'를 만들겠다"며 "빛의 광장에 모인 사회 대개혁 과제들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