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심장내과 연구팀은 복잡한 심장혈관 시술에서도 손등 부위 혈관을 이용한 ‘스너프박스 접근법’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스너프박스 접근법은 손목을 통해 이뤄지던 기존 심장혈관 시술과 달리 손등 부위 원위 요골 혈관을 이용한 시술로, 시술 후 혈관 폐색 위험이 낮고 지혈이 쉬워 출혈 등 시술 부위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손등 혈관은 직경이 작아 복잡한 시술에 필요한 굵은 기구 적용이 어려워 고난도 시술에는 거의 사용하지 못했다.
기존 6프렌치보다 굵은 기구 효과 국내 최초 분석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에 주로 활용하던 6프렌치 도관보다 직경은 더 크지만 벽 구조는 얇은 7프렌치 도관을 활용, 복잡한 심장혈관 시술 안전성을 분석했다.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노지웅·이오현 교수(공동 제1저자), 김용철·조덕규 교수(공동 교신저자) 연구팀은 2021년 8월부터 2024년 4월까지 용인세브란스병원에서 심장혈관시술을 받은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시술 안전성과 유효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스너프박스 접근법을 통한 심장혈관 시술은 시술 난이도가 높고 합병증 위험이 큰 복잡 병변 환자를 포함한 참여 환자 100명 모두에서 성공적으로 이뤄졌으며, 손목 혈관 폐쇄와 같은 시술 부위 중대한 합병증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또 시술 직후 혈관 내 영상 검사에서 손목 부위 혈관 내막 손상이나 혈전 형성은 매우 드물게 나타났으며, 모든 환자가 손 기능 저하 없이 빠르게 회복했다.
김용철 교수는 “이번 연구는 얇은 벽 구조 7프렌치 도관을 이용한 스너프박스 접근법이 기존에는 어려웠던 복잡한 심장혈관 시술에도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 국내 최초 연구”라며 “심장혈관 시술 후 손목 혈관을 보존해 빠른 회복을 모색하는 방법으로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노지웅 교수는 "스너프박스 접근법은 시술 후 통증과 출혈 위험을 낮추고, 손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향후 혈관 재사용 가능성을 높이는 최적의 접근법"이라며 "특히 고령자나 만성 신장질환자 등 다리 동맥 접근이 어려운 환자에게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Nature) 자매지인 ‘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