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병원 노동자들이 "의정갈등 이후 악화된 경영 위기를 노동자들에게 떠넘기지 말라"고 촉구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 소속 7개 국립대병원 지부, 광주전남지역본부는 10일 전남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지적했다.
보건노조는 "지난해 2월 시작된 의료공백은 정부가 바뀌어도 진행 중이고, 잘못된 의료개혁으로 인한 국립대병원 적자는 눈덩이처럼 불어났다"고 말했다.
이어 "국립대병원장들은 경영난을 이유로 강제 휴가, 인력 충원 중단 등 노동자 희생을 강요하는 긴축 경영을 펼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전남대병원 지부에서는 단체협약 위반, '연차촉진제' 도입 시도를 규탄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신나리 전남대병원 지부장에 따르면 빛고을전남대병원은 연간 170억원 이상에 달하는 적자를 내고 있고, 정부와 광주시, 병원이 2014년 개원한 이후 현재까지 누적 적자가 1000억원 이상이다.
그는 "작년부터 병원이 퇴직자, 공로연수자, 육아휴직자 등의 공백을 충원하지 않은 채 남아 있는 직원에게 업무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힐난했다.
이어 "2022년, 2023년 채용된 신규 간호사 중 아직 발령받지 못한 인원이 300여명이며, 간호사들은 병동 통폐합, 부서 이동, 긴급 오프 등 예측할 수 없이 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병원은 또 다시 근무조 당 간호사 수를 줄이고 있어 주말이나 야간에는 한 병동을 담당하는 간호사가 단 2명만 있는 병동이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충남대병원에서도 비상경영을 선포하고 센터 내 통폐합 확대, 전직원 대상 무급휴직, 명예퇴직 조사 등 시설과 인력을 줄였다.
유은하 충남대병원 지부장은 "세종충남대병원 건립으로 생긴 부채로 은행대출이 제한되는 등 사실상 도산 위기"라며 "직원들 희생으로 파산을 피했지만 병원은 또 희생을 강요 중"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노조에 따르면 의정갈등 여파로 지난해 10개 국립대병원 적자는 약 56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남대병원 670억원 ▲부산대병원 660억원 ▲충남대병원 330억원 ▲경상국립대병원 300억원 ▲전북대병원 500억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