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취약지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임신부·태아 위험”
직선제 산부인과의사회, 정부 검토 관련 반발···'의사들 98.5% 반대'
2020.06.08 15:06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정부가 분만취약지 임신부를 대상으로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을 검토하고 나서자 직선제 산부인과의사회(이하 직선제 산회)가 강하게 반발했다.
 
직선제 산회는 8일 보도자료를 내고 “비대면 진료 환자 관리는 임신부와 태아 건강을 담보할 정보가 거의 없어 실효성이 떨어지고, 임신부가 비대면 진료를 산전관리의 한 방식으로 오인해 임신부와 태아가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
 
앞서 복지부는 대한의사협회(의협)·대한병원협회(병협)·대한산부인과학회·대한산부인과의사회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고, 분만취약지 임신부 임신·출산 관련 교육상담·산전 건강관리 등을 지원하는 신규 건강보험 수가 적용 시범사업 추진을 논의하겠다고 피력했다.
 
이후 분만취약지 임신부 재택 의료 수가 시범사업 추진방향 간담회를 통해 교육상담과 의료진이 월 2회 이상 분만취약지 임신부에게 전화 문진(대면진료), 환자 관리(비대면 진료) 등 안건을 제시한 바 있다.
 
또 비대면 진료가 임상 과정에서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직선제 산회는 “어떤 임상시험이나 기술 적용이 임신부에게 시행될 때는 다른 임상 과정에서 충분히 검증되고 안전성이 담보된 후에야 시행하는 것이 의학적 관례”라며 “직선제 산회는 지난 2월 20일 복지부에 공문을 보내 반대 의견을 나타냈다”고 강조했다.
 
더욱이 지난 5월25일에는 시범사업 협의체 회의에 의협·병협 등 대표 위원들은 참여하지 못했고, 회의 이후 이뤄진 직선제 산회 설문조사에서 소속 산부인과 의사들은 비대면 진료 안건에 대해 623명 중 98.5%가 반대했다.
 
직선제 산회는 “비대면 진료 안건이 분만취약지 임신부에 섣불리 시행돼 시범사업 의도와 달리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추진을 당장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