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감 깊어진 비뇨기과 개원가 생존법은 과연
어홍선 의사회장 “종별 수술 권고안 등 실질적 전달체계 정립 고민”
2017.03.20 05:38 댓글쓰기

“만성질환 위주로 의료전달체계 개편이 이뤄지고 있지만 외과계 비인기학과에 대한 고민이 없다는 것이 문제다. 특히 비뇨기과의 현재와 미래는 암울하다. 개원가와 대학병원에서 시행하는 수술을 구분하는 등 제도적 교통정리가 시급한 때다.”


19일 대한비뇨기과의사회 춘계학술대회에서 기자들과 만난 어홍선 회장[사진]은 대선 정국을 앞두고 의료정책 중 비뇨기과 주제가 중점적으로 거론되고 있음을 강조하며 이 같은 주장을 펼쳤다.


어 회장은 “조만간 비뇨기과, 흉부외과, 외과가 첫 회동을 한다. 전공의 모집이 어려운 기피과들이 모여 현 상황을 진단하자는 뜻이 일치했기 때문이다. 전달체계 개편에 대한 실질적 대응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머리를 맞댈 것”이라고 말했다.


비뇨기과의 경우는 개원가에서도 충분히 가능한 수술이 많은데도 1차 기관은 배제되고 2, 3차 기관이 독점하다시피 하면서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진단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모두가 피해를 볼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지적이다.


타 과 대비 대학교수들의 업무 로딩이 가장 심한 곳 중 하나를 꼽는다면 단연 비뇨기과다.

전공의도 없이 일정을 소화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있는 것이다. 실제 모 대학병원 교수는 휴식 없이 수술을 진행하다가 허리통증을 호소하며 입원하는 경우도 발생했다. 


이 흐름 속에서 개원가를 찾는 환자는 점점 줄어들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매년 문을 닫는 곳이 많아지고 있어 현실적 해결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어 회장은 “전립선비대증, 요로결석, 요실금, 탈장 수술 등 현재 대학병원 위주로 진행되는 대부분의 수술은 개원가에서도 가능하다. 이러한 어긋한 전달체계를 바로 잡기 위해서는 수술 등급을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단순 수술, 복합 수술 등 구분에 이어 보다 면밀한 종별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는 것이 바로 전달체계 확립이라고 볼 수 있다. 비뇨기과 차원에서도 이 연구가 활발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지만 정부가 문제를 제대로 인식해 바로 잡으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즉, 통상적인 수술 등은 개원가에서 진행하고 비뇨기 중증질환, 암, 선천성 기형 등을 대학병원의 몫으로 돌려야 한다는 것이다.


어 회장은 “또 다른 현실적인 대응책 중 하나로 1차 기관에서 2, 3차 기관으로 환자를 보내는 것이 정당한지 여부를 따지는 의뢰 사전점검제도 역시 고민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이는 환자가 1차 기관에서 2, 3차 기관으로 병원을 이동할 때, 국민건강보험공단이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 무분별한 이동이 아닌 근거있는 의뢰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는 “대선 정국과 맞물려 의료정책 분야에서 다양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으며, 특히 비뇨기과에 대한 얘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굉장히 중요한 이 시기에 비뇨기과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